이달 들어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구입 목적의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이 8월과 9월의 거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은행권의 대출금리 인상 등 가계대출 억제 조치와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20일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 따르면 이달 들어 17일까지 새로 취급된 주택구입 목적 개별 주택담보대출 총액은 3조4598억원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2035억원 규모로, 9월(3469억원)보다 41% 정도 줄어든 수치다..
추석 연휴 사흘(16∼18일)을 빼면 9월 일평균 신규 취급액(3854억원)은 8월(3611억원)보다 많은 사실상 역대 최대 규모였다. 2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 적용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은 모양새였다.
하지만 10월의 경우, 연휴를 고려한 9월 일평균 취급액과 비교해 감소율이 47%에 이르러 확실히 증가세가 꺾였다.
주담대가 급감하면서 전체 가계대출 잔액 증가 속도도 눈에 띄게 더뎌졌다.
17일 기준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31조6892억원으로 9월 말(730조9671억원)보다 7221억원 늘었다.
10월의 절반 가량 지난 상황이긴 하지만 지난달 전체 증가 폭(+5조629억원)의 약 13%, 2020년 11월(+9조4195억원) 이후 3년9개월 만에 가장 컸던 8월 증가 폭(+9조6259억원)의 약 8%에 불과하다.
하루 평균 425억원 불어난 것으로, 이 속도대로라면 이달 31일까지 한 달 전체 증가 폭도 1조3000억원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최근 가계대출 급증세를 이끌었던 주택담보대출이 17일 사이 겨우 997억원
(574조5764억원→574억6761억원) 늘었다. 9월(+5조9148억원)과 8월(+8조9115억원)의 각 1.7%, 1.1% 수준이다.
다만 이달 들어 신용대출의 경우 9월 전체 증가액(9억원)보다 많은 6594억원이 불었다.
이같은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의 주요 배경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 감소, 은행권의 대출금리 인상 등 가계대출 제한 조치와 금융당국의 2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9월 실행) 등을 꼽힌다.
서울시 부동산 정보 제공 사이트 ‘서울 부동산 정보광장’의 부동산 거래현황을 보면,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 건수는 △5월 5183건 △6월 7662건 △7월 8986건 △8월 6279건 △9월 2724건 △10월(17일까지) 719건으로 집계됐다.
7월 연중 최다 거래량을 찍은 후 8월부터 감소세가 확연하다.
통상 주택 매매 계약 후 1∼2개월 지나 주담대가 실행되는 관행을 고려할 때 8월부터 줄어든 주택거래량이 10월 신규 주담대 급감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지난 11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지만, 대출금리는 오름세를 지속하는 것도 가계대출 증가세에 브레이크를 걸었다는 평가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18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4.150∼5.720% 수준이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하한 지난 11일(연 3.990∼5.780%) 당시보다 일주일 새 하단이 0.160%포인트 높아졌다.
같은 기간 혼합형 금리 주요 지표인 은행채 5년물 금리는 3.304%에서 3.292%로 0.012%p 떨어졌는데도 주담대 금리는 오히려 오른 것이다.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기준·연 4.750∼6.540%)도 상·하단이 각각 0.040%포인트 올랐다. 변동금리의 지표인 코픽스(COFIX)가 3.360%에서 3.400%로 0.040%p 상승한 영
향이다.
하지만 다음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입주 등이 남아있는 만큼 가계대출 증가세가 완전히 꺾였다고 안심하긴 이르다는 지적이다.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단지 규모는 1만2000세대인데다 세입자를 구하는 집주인이 상당수인 만큼 집단대출 뿐 아니라 전세자금대출이 급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