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북한의 대규모 지상군 파병과 관련, 우크라이나에 대한 살상무기 지원 여부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필요한 조치들이 검토되고 강구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21일 밝혔다. 외교부는 이날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주한 러시아 대사를 초치해 강력히 항의했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살상무기 지원을 할 수 있느냐’는 질의에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북·러 군사협력) 동향을 지켜볼 것”이라며 이같이 답했다. 이는 북한군 파병과 러시아의 대북 군사기술 지원 상황 등을 지켜보면서, 살상무기를 비롯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실제로 살상무기를 지원하게 된다면, 155㎜ 포탄을 미국을 통해 우회 지원하는 방식이 우선 거론된다. 정부는 지난해에도 미 정부와 155㎜ 포탄 약 50만발을 대여 형식으로 제공한다는 계약을 맺은 바 있다. 당시 우크라이나에 포탄을 우회 지원한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군사요원 파견 가능성도 거론된다. 전 대변인은 이에 “가능성을 열어놓고 필요한 부분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현재 북·러 군사협력이 우리 정부가 설정한 ‘레드라인’을 넘었냐는 질문에는 답변을 유보했다. 정부는 그동안 대러 관계와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상황 등을 고려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직접적인 살상무기 지원에는 선을 그어왔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도 북한 파병사실을 강조하며 국제사회의 관심을 촉구했다. 우크라이나 언론 우크린폼 등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젤렌스키 대통령은 화상 연설을 통해 “북한이 러시아에 장비뿐 아니라 군인들을 보내고 있다는 위성·영상 증거가 충분하다”며 “북한이 현대전에 숙련이 되면 불행하게도 불안정과 위협이 많이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북한 관영 매체들은 북한이 파병을 결정했다는 한국 정부 발표에 일절 반응하지 않고 있다. 대외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파병을 인정하는 입장문도, 부정하는 반박문도 내지 않았다. 대내매체인 노동신문 국제면에는 이날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서방 국가들이 우크라이나 주민을 도와주겠다는 약속과 달리 자국 영토에 체류하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는 내용을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