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에도 이어진 저출생 '청신호'…8월 출생아 수 전년보다 5.9%↑

올해 8월 태어난 아기가 전년 동월 대비 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8월 기준 2010년 이후 최대 증가율이다. 코로나19 사태의 그늘이 걷힌 2022년 하반기부터 혼인이 늘면서 출산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혼인 건수도 20% 늘어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증가율(8월 기준)을 기록했다. 올해 합계출산율이 9년 만에 반등할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등 저출생 반전 흐름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정부·국회·지자체가 더 종합적인 저출산 정책 마련 힘써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4년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8월 출생아 수는 2만98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9%(1124명) 증가했다. 7월(1516명)에 이어 두 달째 1000명 이상 증가세다. 출생아 수 증가폭은 8월 기준 2012년(2095명) 이후 12년 만에 가장 컸다. 증가율을 기준으로 해도 2010년 8월(6.1%)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았다. 출생아 수는 지난 6월 1.8% 감소한 뒤 7월 7.9% 반등한 바 있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 대구 등 13개 시도는 출생아 수가 늘었고 부산과 강원, 전북, 제주는 줄었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2022년 8월 이후 혼인 건수가 전년 동월 대비 큰 폭으로 늘어났는데 혼인 증가가 출산으로 이어진 결과로 보인다”면서 “하반기에도 출생아 증가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보고 있다”고 말했다.

 

8월 혼인 건수도 전년과 비교해 크게 늘었다. 8월 혼인 건수는 1만7527건으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 2917건(20.0%) 늘었다. 이는 1981년 월간 통계 작성 이후 8월 기준 최대 증가율이다. 경남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혼인 건수가 증가했다. 혼인 건수는 올해 4월 이후 다섯 달째 증가세다. 1~8월 누계 혼인 건수는 14만640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2% 늘었다. 임영일 과장은 “2021~2023년 혼인 건수가 낮았던 기저효과에 더해 30대 초반 여성 인구의 증가,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적인 부분이 맞물린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올해부터 최대 500만원의 결혼 장려금을 지급하고 있는 대전의 경우 1~8월 혼인 건수가 4347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3585건) 대비 21.3% 늘었다.

 

출생아 수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올해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이 2015년 이후 9년 만에 반등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의 ‘2025년 경제전망:2024~2028년’에 따르면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72명으로 최저치를 찍은 뒤 올해 0.74명으로 반등할 것으로 예측됐다.

 

출생아 수 증가가 이어지고 있는 데다 혼인에도 ‘청신호’가 켜지고 있는 만큼 정부가 저출생 해결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주 출산 연령대인 31~35세 여성인구는 2023~2032년 150만명대를 유지되다 이후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예정처는 “(출산율 상향 전망에도) 전망의 불확실성은 점점 확대되고 있다”면서 “평균 산모 연령 및 육아 비용의 증가는 우리나라 출산율의 저해 요소”라고 지적했다. 예정처는 이어 “최근의 혼인 건수의 증가와 더불어 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부 정책적 노력들은 상승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