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물가상승률 1.3%…둔화 흐름 속 '김장물가' 불안 여전

2021년 1월 이후 3년9개월만 최저…석유류 하락에 두달째 1%대
채소류 15.6%↑ 2년만에 최대폭…외식 등 개인서비스도 2.9%↑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1%대를 기록하면서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

석유류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3년9개월만에 가장 낮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다만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무 등 채소류는 높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서울의 한 마트에서 시민들이 김장용 절임 배추 예약을 위해 줄을 서 있다. 연합뉴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4.69(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1.3% 상승했다.

2021년 1월(0.9%)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4월(2.9%) 3% 아래로 내려온 뒤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며 안정세를 보였다.

9월(1.6%)부터는 1%대로 내려오며 둔화세가 뚜렷해졌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 물가는 1.2% 올라 전체 물가를 0.1%포인트(p) 끌어올렸다.

특히 채소류가 작년 같은 달보다 15.6% 오르면서 2022년 10월(22.1%)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김장 재료인 배추(51.5%), 무(52.1%) 등 채소는 50% 넘게 뛰었고 상추도 49.3% 올랐다.

통계청 공미숙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쌀 가격은 8.7% 떨어지면서 작년 1월(-9.3%) 이후 21개월만에 최대 하락 폭을 기록했다. 사과(-20%), 포도(-6.5%) 등 과일류 가격도 안정세가 이어졌다.

공업제품 가격 상승률은 1년 전보다 0.3% 하락하면서 21년 2월(-0.8%) 이후 44개월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석유류 가격이 15개월 만에 최대 하락폭(-10.9%)을 기록하면서 전체 물가를 0.46%p 끌어내렸다.

서비스 물가는 2.1% 상승했다. 외식을 비롯한 개인 서비스 물가는 2.9% 오르며 전체 물가에 0.96%p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물가에 영향이 큰 석유류 가격이 크게 줄고, 과일 가격도 많이 안정되면서 전체 물가상승률이 하락했다"며 "채소와 외식 물가는 상승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밥상 물가'와 관련 있는 신선식품 지수는 1.6% 상승률을 기록하며 1%대로 내려앉았다.

생활물가 지수 상승률도 1.2%를 기록해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1.8%를 기록해 전월보다 0.2%p 낮아졌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7% 상승했다.

공미숙 심의관은 "과실류 등은 지난해 물가 상승률이 높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다"면서도 "채소류와 석유류는 기상이변 및 국제 정세 등 외부 상황에 따라 변동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