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출범 전후로 신생 조직의 수사 능력에 대한 우려가 컸다. 김진욱 초대 공수처장이 수사 경험이 없는 헌법재판소 연구관 출신인 데다 실무를 지휘하는 공수처 차장마저 판사 출신을 기용해서다. 게다가 특수수사통 검사들이 청와대의 인선 과정에서 배제된 것으로 드러나 뒷말이 무성했다. 그러자 김 처장은 신규 임용한 공수처 검사 13명을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명작 ‘최후의 만찬’에 비유했다. “(예수의 제자) 13명 가운데는 무학에 가까운 갈릴리 출신 어부가 많은데, 세상을 바꾸지 않았느냐”며 “13명이면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하지만 1기 공수처는 3년 동안 ‘기소 3건, 유죄 0건’이라는 처참한 성적을 남겼다. 이른바 ‘황제 조사’, 위법 압수수색 논란 등 자질 시비도 끊이지 않았다. 내년 1월이면 출범 4주년을 맞이하는 공수처는 지금까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공수처가 지난해부터 올해 6월30일까지 총 3300여 건을 접수하고 직접 공소제기를 요구한 사건은 한 건에 불과하다. 수사력 부재, 지휘부의 리더십 부족, 정치권의 압박 등이 맞물린 결과라는 비판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