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있으면 심근경색·협심증 시술 후 뇌졸중 발생 가능성 더 높아 [건강+]

우울증이 있는 환자는 관상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지는 협심증·심근경색 치료(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이후 뇌졸중 및 조기 사망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한림대성심병원 신경과 이민우 교수,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순환기내과 천대영 교수,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데이터를 이용해 2010∼2017년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16만4198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대상자 중 이전에 우울증을 진단받은 환자는 2만8560명(17.4%)이었다. 

 

연구팀은 우울증을 진단받은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의 심혈관질환 치료 후 급성 뇌졸중 발생, 조기 사망위험, 관상동맥 재개통 시술 또는 관상동맥우회술 시행 여부 등을 비교했다. 그 결과 우울증 그룹에서 급성 뇌졸중을 겪은 환자는 1468명(5.7%)이었지만, 우울증이 없는 그룹은 13만5638명 중 4748명(3.5%)이 급성 뇌졸중을 겪었다. 변수를 조정하면 우울증이 있는 그룹은 우울증이 없는 그룹보다 급성 뇌졸중 위험이 2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조기 사망위험도 우울증 그룹이 우울증이 없는 그룹보다 25% 높았다. 우울증 그룹은 심장혈관이 다시 막혀 재개통 시술을 받거나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을 위험도 8% 높았다. 우울증 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 5년 미만일 때보다 조기 사망위험이 7% 높았다.

 

특히 연령별 분석에서는 65세 미만인 그룹의 우울증과 관련된 뇌졸중 위험이 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5세 이상 그룹에서 우울증 관련 뇌졸중 위험이 19% 증가한 것에 비해 2.5배 높은 수치다. 또 65세 미만 그룹은 65세 이상 그룹보다 조기 사망위험이 2배 이상 높았다.

 

이 교수는 “우울증이 있는 심혈관질환 환자의 경우 시술 전후 정신건강평가 및 우울증 관리를 통해 환자의 예후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E급 국제 학술지인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