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통영·광주영재원, 지역 예술영재 육성
최초 국립 예술영재교육기관인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 부설 한국예술영재교육원(예술영재원)의 지역캠퍼스(분원)가 지역 예술영재교육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예술영재원이 서울에 있다 보니 먼 지역에 사는 데다 형편이 넉넉하지 않은 가정의 아이들은 지원할 엄두도 못 내는 등 지역 예술영재 소외가 문제로 지적됐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예술영재교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예술영재원 지역확대 사업에 나섰다. 세종·통영캠퍼스를 2021년, 광주캠퍼스를 2023년 정식 개관했다. 한예종이 강사 파견과 교육프로그램 등 교육 기반을,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행정·교육공간 등 시설 기반을 각각 제공하는 협력 체제로 운영된다. 전국 단위로 학생을 모집·선발하는 서울 본원과 달리 이들 캠퍼스는 권역별로 뽑는다. 세종캠퍼스는 충청권(세종·대전·충남·충북), 통영캠퍼스는 경상권(경남·경북·대구·부산·울산), 광주캠퍼스는 전라권(광주·전남·전북) 학생만 지원할 수 있다. 각 세부 전공에 따라 개인·그룹별 수업이 주로 주말에 이뤄지고, 향상음악회와 공연실습, 한예종 교수와 명연주자 등이 직접 지도하는 마스터 클래스(명인 강좌) 등 다양한 교육이 제공된다.
올해 선발인원은 서울 본원 203명과 세종(40명)·통영(30명)·광주(38명) 캠퍼스 합쳐 모두 311명이다.
◆지역 예술영재원 학생·학부모 만족도 높아
지역 예술영재원에 다닌 학생들이나 자녀를 보낸 부모들은 교육 환경과 수준에 대부분 만족하고 있다.
18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지난 4∼5월 예술영재원 지역캠퍼스 학생 218명과 학부모 10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영재원이 제공하는 예술영재교육에 만족한다’는 응답률이 학생과 학부모 각각 87.6%(매우 만족 57.8%, 만족 29.8%)와 90.1%(매우 만족 54.5%, 만족 35.6%)로 나타났다. ‘만족스럽지 않다’는 응답률은 각각 2.3%와 2.0%에 그쳤다. 학생들은 만족하는 첫 번째 이유로 한예종 출신이 주축인 강사진의 우수성(41.7%)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교육프로그램(26.7%)과 교육시설(9.4%), 수강료 무료(8.9%), 가까운 거리(5.2%) 등 순으로 답했다. 예술영재원의 수업, 교강사 등 항목별 만족도에서도 10명 중 8∼9명이 “전공 실기와 이론에 관해 깊이 있게 배운다”, “결과물을 만들고 발표하는 기회를 갖는다”, “자신감과 전공 실기 능력이 향상됐다”고 응답하는 등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통영캠퍼스에서 초창기부터 음악이론을 가르쳐 온 인채은 강사는 “아무래도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곳은 지역적 한계로 양질의 예술교육을 받기 어려웠는데 지역캠퍼스가 어느 정도 해소해준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에 있는 학생들과의 실력 차이도 갈수록 줄고 있다”며 “(지역 예술영재들이) 어린 나이에 부모를 떠나 서울에 살거나 주말마다 레슨받으러 서울까지 안 가도 되면서 경제적 부담을 더는 효과도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학부모들 반응도 대체적으로 비슷했다.
장재완군 어머니 나태경씨는 “광주엔 전통예술 영재교육을 하는 곳이 없었는데 최고의 교육시스템을 갖춘 국립 영재원이 생겨 너무 감사하다”며 “지방에서 예술 전공 교육을 시키려면 돈도 많이 들고 좋은 선생님 찾기도 힘든데 아이나 저나 큰 혜택을 받은 것 같다. 주변에 적극 추천하고 싶다”고 했다.
◆지역 예술영재원 활성화 위한 과제는
시범운영을 포함해 예술영재원 지역캠퍼스가 도입된 지 5년가량 되면서 보완하거나 개선해야 할 점들도 눈에 띈다. 무엇보다 지역캠퍼스 운영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한예종과 해당 지자체, 교육청, 예술영재원 서울 본원과 분원 간 긴밀한 협력체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직까진 협력 관계가 느슨해 학생 모집과 지역캠퍼스 홍보 활동만 봐도 미흡한 실정이다. 지원자가 기대만큼 몰리지 않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통영캠퍼스의 경우 차로 3시간이나 걸리는 지역의 학생도 있는 등 지리적 접근성이 취약한 캠퍼스는 향후 학생 모집에 어려움이 클 수 있어 접근성 강화 방안도 요구된다. 올해 재정난 불똥이 예술영재원에도 튀면서 수업 시간과 모집 정원 축소에 영향을 준 데서 보듯 안정적인 운영 예산 확보 역시 중요하다. 다행히 내년 예산은 어느 정도 회복됐다고 한다.
이정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은 “지역캠퍼스 교육프로그램이 본원과 거의 동일한데 공통 교육과목과 지역별 영재들의 특성을 반영한 특화 프로그램으로 이원화하고, 지역캠퍼스별로 동일한 여건의 교육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지침)이 필요하다”며 “(본원 학생들을 지도하는) 한예종 주임·전공 교수들이 지역캠퍼스 학생들과 함께하는 기회도 늘렸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예종 교수들의 지역캠퍼스 마스터 클래스는 1년에 한두 번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허영한 예술영재원 원장은 “학생과 학부모의 높은 만족도가 영재원 지역확대 사업의 성과를 보여준다고 생각한다”며 “마스터 클래스 증대 등 사업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을 고민하고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