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최고 품질’로 내세우고 있는 수돗물 ‘하늘수’를 직접 마시는 시민들이 매우 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환경부·한국상하수도협회가 3년마다 공개하는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2021년 기준 관내 1530가구 중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마신다(보리차·옥수수차 포함)’는 응답은 28.3%에 그쳤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대구(28.0%) 다음으로 낮은 16위로 기록됐다. 서비스 관련 질문에는 57.5%가 ‘만족’이라고 답해 7대 특·광역시 중 울산(35.6%)·대구(47.8%)와 함께 하위권에 머물렀다.
아울러 각 가정에 물을 보내는 상수도 관망의 노후화도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전국적으로 땅꺼짐이 일어나는 원인으로 도심의 오래된 상하수도관이 지목되면서 개선 대책이 시급하다. 과거 계양구 인천지하철 1호선 박촌역 인근 도로에서 가로 1m, 세로 2m 땅이 가라앉은 주된 요인은 30년 가까이 된 수도관 누수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시에 따르면 지역 상수도관 총연장 7369㎞ 규모에서 전체 4분의 1인 1713㎞가량이 설치된 지 30년이 넘었다. 종류별로는 배수관이 916㎞로 가장 많았고 급수관 694㎞, 도수관 52㎞, 송수관 51㎞ 등으로 뒤를 이었다. 주철이나 스테인리스와 비교해 내구연한이 10년 짧은 플라스틱관의 기준인 20년을 적용하면 전체의 2853㎞, 38.7% 수준으로 늘어난다.
이 같은 노후관은 누수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높고, 부식에 따른 급수전에서 물이 적갈색으로 나오는 등 이물질을 발생시킨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반면 시는 앞으로 낡은 상수도관 정비 예산에서 큰 폭의 삭감을 예고한 바 있다. 시민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상수도 안전에 무관심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상수도사업본부가 세운 내년도 관 교체 예산은 226억4500만원으로 올해 347억1600만원보다 약 120억원이 줄었다. 문세종 인천시의원은 “2019년 붉은 수돗물 사고는 노후관 속 이물질이 떨어져 나오면서 시작됐다. 사고 발생 5년이 지난 지금도 30년 넘은 노후관이 많다는 건 적수 사태가 언제든 재발할 수도 있다는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