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트스트림의 덫/ 마리옹 반 렌테르겜/ 권지현 옮김/ 롤러코스터/ 1만8700원
숱이 적은 머리를 정성스럽게 빗어 넘긴 마른 몸매의 남자가 흰 셔츠에 검은 양복을 입고 독일 연방 의회에 모습을 드러냈다. 단상으로 향해 걸어가는 그의 모습은 다소 긴장돼 보였다. 약 2년 전 러시아 연방 대통령으로 당선된, 곧 40대가 될 블라디미르 푸틴이었다. 의석 첫째 줄에서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가 앉아 있었고, 그 뒷줄에는 연방 의원이던 앙겔라 메르켈도 보였다.
9·11테러가 발생한 지 2주 뒤인 2001년 9월25일, 러시아어로 연설을 시작한 푸틴은 2분30초 뒤에 느닷없이 독일어로 말하기 시작했다. 예정된 연설 30분 가운데 나머지 대부분 시간을 괴테, 실러, 칸트의 언어로 두 나라의 우정을 강조하는 데 할애했다. 이어서 공동의 적인 이슬람 세력에 맞서야 한다고 강조한 뒤, 마지막에야 자신이 바라던 경제협력 메시지를 던졌다.
“오늘날 독일은 러시아의 최대 경제 파트너입니다… 우리가 이 정도에서 기뻐하고 이만한 성취에 만족할 수 있겠습니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러시아와 독일이 마주 잡은 협력은 아직 성장 잠재력이 충분합니다.”
푸틴이 연설을 하기 전인 4월에 이미 발트해 해저에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가스관을 건설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를 결정한 두 나라는 연설 2년 뒤에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가스관 건설을 계획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부터 경제 협력을 강화한 두 나라는 1973년에는 가스관 건설을 통해서 독일은 값싼 천연가스를 받고 소련은 자금과 설비를 챙기는 계약을 맺었다. 독일은 이후에도 꾸준히 대체에너지를 찾다가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터지자 값싼 러시아 천연가스로 돌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