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는 청년 42만, 2년째 늘어…“소극적 구직자부터 취업 유도해야” [통계로 보는 행정]

특별한 이유 없이 ‘쉬는 청년’이 42만명에 달하는 실정이다. 청년 ‘쉬었음’ 인구는 코로나19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를 이어가다 2년째 증가하고 있다. 청년층의 구직활동 둔화는 생산인구 감소와 더불어 청년 고립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비용을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일률적인 고용 지원 대책이 아닌, 쉬는 상황에 처한 청년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맞춤형 지원을 펼쳐야 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쉬었음’이라고 답한 청년(15∼29세) 은 평균 41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1만명)보다 3.4% 증가했다. 이는  경제활동에 참가하지 않는 청년 중 ‘쉬었음’이라고 답한 이들을 평균 낸 값이다. 특별한 이유 없이 무직으로 지내며 구직 활동조차 하지 않은 청년이 40만명을 넘는 것이다. 

 

‘쉬는 청년’ 인구는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 44만8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22년 39만명까지 감소하다 다시 2년 연속 늘어나고 있다. 청년층의 ‘쉬었음’ 이유로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아 고용 둔화가 ‘쉬는 청년’ 증가세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쉬는 청년의 경우 다른 연령대보다 우리 사회에 주는 악영향이 커진다는 지적이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최근 ‘‘쉬었음’ 청년 지원 방안’ 보고서에서 “청년의 경우 ‘쉬었음’ 기간이 길어질수록 고용가능성과 임금수준이 낮아질 확률이 높고, 청년의 고립 및 은둔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모든 ‘쉬는 청년’에게 고용을 독려하는 정책프로그램이 필요하지만, 유형별로 ‘쉬었음’의 원인을 파악하고 정책대상의 우선 순위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정부는 ‘쉬었음’ 청년을 △취준적극형 △취준소극형 △이직적극형 △이직소극형 △취약형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취준적극형’은 직장경험은 없으나 구직의지는 있는 상태로, 진로에 대해 일부 불안감이 있어 쉬는 중이다. ‘이직소극형’의 경우 기존 직장에서 퇴직했으나, 상향이직 등에 대한 기대가 불투명해 구직 계획을 세우기 어려운 청년이라는 식의 분류다.

 

서울 시내 한 취업 준비 학원에서 취업 준비생이 자율 학습하는 모습. 연합뉴스

연구원은 청년 취업 유도정책의 우선 대상으로 ‘취준소극형’과 ‘이직소극형’이 고려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들의 경우 경제활동을 하더라도 지속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교육, 일상생활을 위한 동기부여가 가능한 정책대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취준소극형’의 경우 재학단계에서 학업중단 예방, 진로탐색지원 상설화 등을 지원하고, 구직단계에서는 지역 멘토링 프로그램 등을 통한 고립 방지, 지역 내 청년친화강소기업을 홍보하는 방안 등이 제시됐다. ‘이직소극형’에 대해서는 기존 직장에서의 부정적인 경험을 극복하고, 신입사원 적응지원 등을 통해 새로운 경제활동을 시작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근본적으로 청년 친화적인 조직문화 조성을 위해 기업과 대학의 노력이 중요하며,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지역 기업이 대학과 연계해 청년들이 장기 근속할 수 있는 ‘청년이 일하기 좋은 직장’ 인증제 등의 유인책을 마련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유자영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청년은 졸업 후 본인의 경제활동으로 유발되는 다양한 삶의 기회를 고려해 ‘쉬었음’을 결정하게 된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의 ‘괜찮은 일자리’를 늘려 청년들을 유인할 필요가 있으며, 장기적인 시각에서 교육, 일자리 등의 삶의 조건을 개선하는 다양한 정책적 변화가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