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여를 기다린 사도광산 추도식이 반쪽짜리로 끝났다. 일본 측이 개최한 추도식은 한국이 불참하며 빈자리로 남았고, 한국은 별도의 추도식을 개최했다. 추도식 전날 한국의 갑작스러운 불참 결정은 외교적으로는 좋지 않은 선례를 남겼지만, 일본 정부를 대표해서 온 정무관의 ‘추도사’도 아닌 ‘인사 발언’의 내용은 추도식의 의미를 퇴색시켰고, 그저 겉치레에 불과했다.
추도식에 대한 논의는 지난 7월, 한국이 일본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동의하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강제동원의 역사가 서려 있는 곳이었기에 많은 비판이 있었지만, 일본이 사도광산 전체 역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당시의 아픈 역사를 제대로 기억할 수 있는 전시실 등 추도시설을 설치하고, 매년 추도식을 개최한다는 조건이 있었다. 그리고 이번 추도식은 그 부족함을 채우고, 사도광산의 명과 암을 모두 보여주며 일본의 마음을 담을 절호의 기회였다. 그러나 4개월여 만에 개최된 일본의 추도식은 실망스럽기 그지없었다. 일본 정부를 대표하는 정무관의 과거 발언과 행동은 추도식을 대하는 일본의 진의를 의심케 하였고, 추도사도 아닌 정무관의 ‘인사 발언’에는 정작 가장 위로받고 슬픔을 나누었어야 할 유족들과 희생자들의 아픔을 기억하고, 이들을 기리는 발언은 없었다.
더 큰 문제는 그다음이다. 한국은 “양측이 이견 조정에 필요한 시간이 충분치 않아 양국이 수용 가능한 합의에 이르기 어려웠다”며 지난 4개월간의 시간이 무색한 입장을 내놓았고, 일본은 “정중히 의사소통해 왔으나, 한국이 불참한 것에 대해 유감스럽다”는 이해하기 어려운 입장을 밝혔다. 여기에 의문이 제기된다. 한국은 왜 만족할 만한 합의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는데, 추도식 개최라는 결론을 내렸는가? 일본은 조건부 동의를 한 한국에 최선을 다했는가? 근본적으로 일본은 추도식의 의미가 무엇인지, 이 추도식이 한·일 관계에 얼마나 중요했는지 알지 못했다는 것인가? 심지어 현지의 분위기를 가장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할 주한일본대사관은 추도식 직전 유감을 표명하며, 이 사태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조차 의심하게 만들었다. 한편, 일본 교도통신은 이쿠이나 정무관의 과거 야스쿠니신사 참배 보도가 오보였음을 인정하는 기사를 내며 상황을 진정시키려는 모습이었지만, 일본은 한국의 불참 결정이 단지 정무관이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했었다는 것 때문만은 아니었다는 점을 도통 이해하지 못하는 모양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