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관세 폭탄’을 예고하면서 세계적으로 경제 위기론이 커지는 가운데 미·중 간 관세 전쟁이 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무차별적인 보편 관세 대신 중국 등 특정 타깃을 겨냥해 순차적으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1일(현지시간)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이코노믹스(BE) 보고서를 인용해 관세 수입과 협상력을 극대화하면서도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이 다시 촉발되는 것을 막기 위해 관세 부과가 순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현행 11.7% 수준인 미국의 대중국 관세(지난해 수입 기준 가중평균)가 내년 7월쯤 20.2%로 오르고, 2026년 3월쯤 28.2%에 이어 2026년 9월에는 36.2%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트럼프 당선인을 둘러싼 예측 불가능성 등이 변수가 되겠지만, 대(對)중국 관세 수준이 3단계 인상을 거쳐 현재의 3배 이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이 같은 예측치가 높은 편이지만 트럼프 당선인의 공약과 비교하면 그 여파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봤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기간 중국산에 60% 관세를 부과하고 모든 수입품에는 10∼20%의 보편 관세를 매기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어 대선 승리 이후 지난달 25일에는 마약 유입 문제를 이유로 취임 첫날 멕시코·캐나다에 25% 관세를 물리고 중국에는 기존 관세에 더해 10% 추가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했다.
블룸버그는 다만 과거 이력을 볼 때 트럼프 당선인이 금융 시장에 혼란을 초래하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짚었다. 관세 정책을 설계·집행해 나갈 경제팀도 변수가 될 전망이다.
중국 정부가 관할하는 싱크탱크는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가 어떤 조치를 하든 대응할 준비가 돼 있음을 시사했다.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경제합작연구원(CAITEC)의 취웨이시(曲維璽) 부원장은 지난달 25일 베이징 연구원에서 한국 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미국 신정부 정책에 대한 대응에 “(중국 정부는) 미국에서 어떤 정책이 나오든 대응해서 반격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