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기반 강화를 위해 1인 가구를 도울 경제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인 가구는 높은 주거비와 취업난 등으로 팬데믹의 타격을 더 크게 받았으며, 현재까지 전체 소비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 비중이 급등하면서 이들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확대된 만큼 주거 부담 해소와 고용 안정 등 연령대별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연구 결과의 골자이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소비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5.5%로 가구원수 기준으로 가장 높았다. 세 가구 중 한 가구꼴인데, 주로 청년(29세 이하·18.6%)과 고령층(70세 이상·19.1%)의 비중이 컸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9세 이하는 전체 평균과 소득 격차가 크지 않았으나 30대부터 1인 가구부터 커지기 시작하여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 차이가 확대됐다.
그 결과 팬데믹 이후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다른 가구보다 더 크게 약화하면서 경제 전체의 소비회복에 악영향을 끼쳤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의 2019년 평균소비성향(소비지출/가처분소득)은 0.78이었지만 2023년에는 0.74로 줄어들면서 가구원수별 가장 높은 감소율(-5.8%)을 기록했다. 4인 가족은 0.74에서 0.73으로 소폭 낮아지면서 감소율이 -0.5%에 그쳤다.
이처럼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이 약화한 원인으로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오른 주거비가 지목됐다. 1인 가구의 월세 비중은 42.3%(2020년 기준)로 전체 가구의 약 2배 수준을 나타냈다.
특히 29세 이하 1인 가구는 64.1%로 가장 높았으며, 30~50대도 40% 이상의 높은 수준을 보였다. 1인 가구의 소득 대비 주거비 과부담 가구 비중이 비교적 높은 상황에서 월세가 팬데믹 이후 큰 폭으로 상승 전환함에 따라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고령층 1인 가구는 코로나19 당시 임시·일용근로 일자리가 크게 줄면서 겪은 ‘상흔 효과’가 상당 기간 이어져 소비를 줄이는 것으로 파악됐다. 팬데믹 이후 임시·일용직에서 취업자 수 크게 줄었는데, 1인 가구는 다른 가구에 비해 관련 종사자가 많아 고용 충격도 더 크게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이밖에도 코로나19 이후 급등한 생활물가, 다른 가구원과 경제 충격을 분담하기 어려운 1인 가구의 구조적 특성 등도 소비성향 약화의 요인으로 언급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재호 한은 조사국 조사총괄팀 과장은 “내수 기반을 튼튼히 하려면 이들 1인 가구의 주거·소득·고용 안정이 긴요한데, 정책 대응 측면에서는 연령대별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청년층에는 높은 주거비 부담 해소를 위한 주거 안정 대책이 절실하며, 고령층에는 열악한 소득과 고용 문제를 해결하는 빈곤 대책이 우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