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년 전과 달랐다…스마트폰이 무력화시킨 계엄령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령을 비상 선포한 3일 밤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는 4000여명(경찰 비공식 추산)의 시민들이 몰렸다. 모여든 시민들은 도서관에서 시험공부를 하던 대학생부터 야근하던 직장인, TV를 보다 달려온 60대 부부까지 다양했다. 이들은 국회를 향하는 군 헬기와 완전무장한 계엄군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해 카카오톡 단체대화방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실시간으로 공유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자정께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시민들이 계엄해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 밖 상황을 시민들이 주로 공유했다면, 국회 안의 상황은 내부로 입장한 의원들이 전파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월담’으로 국회에 진입하는 장면을 유튜브로 생중계했는데, 238만여명이 시청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의 개인 유튜브 채널도 시청자 60만명을 넘어섰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이번 계엄령이 155분 만에 종료된 배경으로 ‘미디어를 통한 실시간 여론 형성’을 꼽았다. 설 교수는 “윤 대통령이 주장한 ‘국가 위기 상황’에 대해 국민들이 전혀 동의하지 않았고, 이 상황이 모두 생중계되면서 실시간으로 여론이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자정께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시민들이 계엄해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설 교수는 1979년 계엄령 당시와 가장 큰 차이점은 ‘정보의 통제 불가능’이라고 설명했다. 45년 전에는 언론 통제로 국민들이 상황을 정확히 알 수 없었지만, 이번에는 시민들의 스마트폰이 모든 순간을 기록했다. 설 교수는 “1990년 걸프전쟁 이후 미디어가 주요 사건을 실황 중계하기 시작하면서 적절한 대응과 부적절한 대응이 실시간으로 식별되기 시작했다”며 “미디어 실황중계로 여론이 즉각 형성되고, 결국 그 여론에 굴복한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