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합산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이 20%대도 위태로울 정도로 하락했다. 중국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마저 크게 하락하면서 ‘K배터리’ 위기론이 커지고 있다.
9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10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에서 배터리 3사의 합산 점유율은 작년 동기 대비 3.5%포인트 하락한 20.2%로 나타났다.
배터리 3사의 합산 점유율은 2021년 1∼10월 31.7%이었지만, 3년 만에 20.2%까지 떨어졌다.
각형 배터리는 폼팩터(형태) 중 하나로 알루미늄 캔에 셀을 넣어 외부 충격에 강하고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좋다는 장점이 있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각형 배터리의 점유율은 작년 연간 70.9%에서 올해 1∼10월 78.3%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반면 한국에서 각형 배터리를 유일하게 공급하던 기업은 삼성SDI였다. 여기에 LG에너지솔루션이 최근 각형 배터리 개발을 공식화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3일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각형 배터리를 개발하고 GM의 차세대 전기차에 탑재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비록 각형 배터리 후발주자지만, GM과의 공동 개발을 시작으로 고객 요구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겠다는 계획이다.
SK온도 각형 배터리 개발을 마치고 양산 시기 등에 대해 다수의 완성차업체와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SK온의 각형 배터리는 지난 6월 ‘전략적 사업 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 중국저장지리홀딩그룹에 공급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배터리 3사는 그간 주력해 온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는 물론 가격 경쟁력을 갖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LFP 배터리는 NCM 배터리 대비 30%가량 저렴해 보급형 전기차에 눈을 돌리는 완성차업체의 요구에 적합하다.
SEN리서치는 “가격 경쟁력과 높은 열안전성의 LFP가 NCM을 대체하기 시작하면서 중국의 시장 점유율이 급성장했다”며 “중국 완성차업체 외에도 다수의 글로벌 기업이 LFP를 도입하면서 3사 역시 빠르게 LFP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LFP 시장 역시 중국 기업이 탄탄한 공급망을 바탕으로 점유율을 키워나가는 상황이라 국내 기업의 뒤늦은 진입이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장담하긴 어려운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