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당은 혈액 속에 함유돼 있는 포도당의 농도다. 사람의 몸은 항상 이 혈당 수치가 일정한 범위 내로 유지돼야 한다.
인슐린은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생기는 혈당이 여러 장기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생성시키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간이나 근육 지방조직과 같은 신체 조직이 인슐린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면, 당뇨병이나 심혈관질환 등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권유진 교수·류하은 임상강사,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허석재 박사 연구팀은 최근 중장년층의 하루 식사 횟수가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2001년부터 2020년 사이의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데이터를 활용해, 40~69세 성인 4570명을 평균 10.6년 간 추적 조사했다.
연구 대상자는 하루 식사 횟수 3회 이상과 미만 두 집단으로 나눠 인슐린 저항성을 비교했다. 인슐린 저항성 평가에는 ‘HOMA-IR’ 지수를 활용했다.
연구팀은 콕스(Cox) 비례 위험 모형 분석을 통해 식사 횟수와 인슐린 저항성 발생 위험 간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 하루 3회 이상 식사한 집단은 3회 미만 식사한 집단보다 인슐린 저항성 발생 위험이 약 12% 낮았고, 체중, 공복 혈당, 중성지방 수치 등이 긍정적으로 유지됐다.
이러한 연관성은 남성, 비만하지 않은 집단, 당뇨병 없는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유지됐고, 여성, 비만 집단, 당뇨병 환자에서는 연관성이 없었다.
이번 연구는 규칙적인 삼시 세끼 식사가 중장년층의 인슐린 저항성과 대사질환 예방과 관리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해냈다. 또 성별, BMI, 당뇨병 유무 등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 관리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는 것도 강조했다.
권유진 교수는 “본 연구는 하루 식사 횟수와 인슐린 저항성 간의 연관성을 장기간 추적한 최초의 대규모 코호트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 있다”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재 연구, 대사질환 고위험군 대상 맞춤형 식습관 개선 프로그램 개발 등 더욱 발전된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IF 6.8)’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