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신해양수도 로드맵 제시…해양 싱크탱크 정책협력 네트워크 출범

글로벌허브도시를 추진 중인 부산시가 ‘신해양수도 그랜드 디자인’ 전략을 마련하고, 해양신산업 육성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12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 8월 부산시 정책수석을 단장으로 ‘해양 싱크탱크 전담팀(TF)’을 구성하고, 해양 특화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연구 성과와 전문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해양 신산업 시장을 선도할 구체적인 사업을 발굴해왔다.

 

12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해양 싱크탱크 정책협력 네트워크’ 출범식에서 박형준 시장(가운데)을 비롯한 부산지역 해양·첨단기술·수산식품 분야 기관 관계자들이 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해양 싱크탱크 TF’는 △디지털 기반 수산물 이력제 실증사업 △해양 모빌리티(첨단선박) 인력양성 글로벌 플랫폼 구축사업 △항만 배후단지를 활용한 농수산물 수출 허브 조성 사업 등 지역 현안 해결형 실증사업과 규제개선 과제 등을 발굴·추진 중이다.

 

해양산업은 기후변화와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 확대 등 글로벌 패러다임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그 속에서 미래 먹거리를 선점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에서 기술혁신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산업으로 전환이라는 시대적·산업적 요구에 직면했다.

 

시는 글로벌 시장 변화와 정부 투자 방향에 맞는 국책과제 공동 기획과 첨단신산업 기업 유치·성장을 위한 기술사업화, 산업인력 공급 지원 등 부산경제 성장을 주도할 해양신산업 선도 분야에 마중물 투자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양 신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해양 싱크탱크 정책협력 네트워크’를 출범하고, 해양 싱크탱크 TF 참여 기관의 결속과 실행력을 강화해 국내 해양수산 발전방안을 폭넓게 논의해나갈 예정이다.

 

해양 싱크탱크 정책협력 네트워크는 해양, 첨단기술, 수산식품 분야 7개 연구기관(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중소조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과 3개 지원기관(한국해양진흥공사,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 부산테크노파크)이 참여한다.

 

또 출범과 동시에 정책 교류회를 통해 △메디컬 오션 프로젝트(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고부가가치 콜드체인 수출 허브 구상(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상안전 스마트 경고시스템 개발(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폐FRP선박 친환경 처리 및 자원화 기술개발(중소조선연구원) △해양환경 적용 로봇플랫폼 실증 기반 구축(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중 레이저 융합기술 산업화 기반 구축(한국기계연구원) △K-블루푸드테크 글로벌 플랫폼 구축(한국식품연구원) 등의 협력과제를 발표하고, 지역산업과 연계 방안을 집중 토의한다.

 

해양산업이 지역경제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부산으로선 해양 싱크탱크 정책협력 네트워크 출범을 계기로 지역이 가진 최대 강점인 해양에 방점을 찍어야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해양+미래기술 융·복합’ 연구에 과감한 투자를 통해 해양 특화 정부출연 연구기관 중심의 연구생태계가 지역·기업·대학이 함께 성장하는 산업생태계로 이어지는 국가균형발전 모델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이 글로벌 해양 신산업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해양 특화 정부출연 연구기관·지원기관의 혁신 역량을 결집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며 “해양산업을 중심으로 남부권 경제발전의 축으로 재도약하고, 청년이 선호하는 새로운 직업군을 창출해 기업과 인재가 동반 성장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