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같은 건설기계 정비 업계에서 유연근무제는 꿈 같은 얘기죠. 선택근무제 같은 근무를 도입할 만큼 인력이 충분치 않아요.”
김창웅 카라인종합정비공장 대표(한국건설기계정비협회장)는 ‘시차출퇴근’이나 월 소정 근무 시간 내에서 출퇴근 시간을 자율로 하는 ‘선택근무’를 도입할 여력이 없다고 17일 토로했다. 20명 남짓한 직원이 일하고 있는 카라인종합정비공장은 불도저·굴착기 같은 특수차량을 정비하는 중소기업이다. 고객사 상황에 맞춰 업무 시간을 불가피하게 조정해야 하는 업체이기도 하다.
김 대표는 “장비들이 오후 4시에 입고되는 날에는 밤 10시 넘어서까지 일해야 할 수 있다”며 “근로 시간을 근로자가 주체적으로 정하는 유연근무는 대기업이나 서비스업에나 국한한 이야기”라고 말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근태관리 시스템 투자 지원은 올해 새로 시작해 홍보가 미비했던 면이 있다”며 “남은 예산은 유연근무제 장려금 지원 사업 예산으로 돌려쓸 수 있어 불용되진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에서는 유연근무가 곧 ‘다른 동료의 추가 업무부담’으로 인식되고 있다. 고용부 산하 노사발전재단이 펴낸 ‘2024년 일터혁신 실태조사 연구’ 보고서를 보면 ‘유연근무제도 활용 관련, 다른 동료들은 추가적인 업무부담을 어느 정도 느낀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물음(4점 척도)에 평균 2.53점으로 “부담을 느낀다”는 의견이 많았다. 조사는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기업 957개를 대상으로 했다.
정부 지원에 대한 선호도는 ‘장려금’(47.6%)이 가장 높았다. 그 외에는 ‘컨설팅’(25.3%), ‘인프라 지원’(19.1%), ‘우수기업 선정 후 혜택 부여’(7.9%)가 차지했다. 정부 지원을 알게 된 경로로는 ‘관련 기관의 소개’(39.6%)가 가장 많고, ‘인터넷 검색’(32.7%), ‘언론 기사 등 홍보’(18.1%), ‘주변 사업장의 소개’(7.1%) 순이었다. 보고서는 “일터혁신 컨설팅에 참여한 기업들은 필요한 정보를 잘 얻고 있으나 그렇지 않은 기업은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여, 제도를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