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후면 예수가 태어난 성탄절이다. 기독교인으로서는 인류를 구해주실 구세주가 오셨으니 이보다 더 기쁘고 더 의미 있는 날은 없을 것이다. 성탄절을 기독교의 축일이라고만 생각하면 이날은 단일문화적 종교행사로 여길 수 있다. 하지만 성탄절의 유래와 전래 과정을 살펴보면 이날 역시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는 훨씬 다문화적인 날임을 알 수 있다.
우리는 12월 25일을 예수가 태어난 날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예수가 태어난 해나 날을 정확히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많은 성경 학자와 고대 역사가는 예수가 태어난 해를 기원전 4년에서 6년 사이라고 보았고, 그가 태어난 달도 3월, 4월, 5월 등으로 다양하게 제시했다. 그러던 중 제35대 교황 율리우스 1세는 350년에 예수의 생일을 12월 25일로 선포했다. 그런데 이날은 기원전부터 로마, 이집트 등 이교 지역에서 태양 숭배 및 관련 신화에 따라 ‘무적의 태양신 축일’ 또는 ‘농신의 축일’로 정하고 기념해 왔다. 기독교의 입장에서는 사람들이 태양신, 농신 등 여러 신을 믿는 것, 이날을 맞아 술을 흥청망청 마시고 노래하고 춤추는 것이 달갑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이날을 예수가 태어난 날로 선포하고 이날을 좀 더 경건하게 보내게 하는 것이었다. 위키피디아는 이를 “기독교 교회가 로마제국의 문화에 맞게 토착화됨과 동시에 이교도 문화를 정복할 정도로 성장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기독교 교회가 로마 문화를 포용한 것인지 정복한 것인지는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분명한 것은 이날이 기독교 문화와 이교도 문화가 만나는 다문화적인 축일이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성탄절의 유래나 전래 과정을 보면 우리의 성탄절 역시 생각보다는 훨씬 다문화적임을 알 수 있다. 이번 성탄절은 이런 사실을 되새기며 자기 종교도 낯설게 바라보고 타인의 종교도 인정하고 존중하는 그런 날이 되었으면 한다. “우리는 우리의 종교를 존중하면서도 타인의 종교들도 존중해야 합니다”라고 한 간디의 말처럼 말이다.
장한업 이화여대 다문화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