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터넷에는 “한국 여자에 의문을 품다, 한국 여자를 이해하다, 한국 여자가 된다”라는 말이 나돈다. 이 말의 의미는, 처음에는 한국 여성들의 행동을 보고 아주 놀라지만 한국 사회의 배경을 알고는 이들을 이해하게 되고 결국에는 중국의 비슷한 상황을 돌아보며 한국 여성처럼 되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이 말은 특히 결혼관에 대해 말할 때 많이 사용된다. 처음에는 인터넷에서 농담처럼 유행하다가 점차 사람들의 머릿속에 자리 잡았고 급기야는 중국인, 특히 한국에서 생활하는 중국 여성들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7년 전, 23살이었던 나는 석사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한국에 왔다. 한국에 온 이유는 한류의 영향을 받아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더 가까이 접하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한국에서 지내는 시간이 길어지자 중국에 계신 부모님은 조금씩 걱정하시기 시작했다. 부모님은 내 ‘인생의 큰일’인 결혼에 대해 걱정하고 결혼을 재촉했다. 사실 부모님의 걱정은 내가 대학교를 졸업했을 때 이미 시작되었다. 어머니께서는 “여자는 석사를 하고, 박사를 하고, 연봉을 많이 받아도 좋은 남자를 만나 빨리 결혼하고 아기를 낳아야 성공하는 거야. 그러니 27살 이전에는 꼭 시집을 가야 해. 그렇지 않으면 아무도 너를 결혼 상대로 보지 않을 거야”라고 말씀하셨다.
석사 졸업 후, 나는 한국에서 2년간 직장생활을 했다. 그동안 또래의 한국 여성들이 어떻게 자신을 더 발전시키려고 하는지 많이 봤다. 외모 관리에서부터 자기 계발, 학력 신장, 직장 승진까지 다양하게 말이다. 30살인 팀장은 결혼을 40살까지 미루거나 아예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고, 40살에 연봉 7000만원을 받는 부장은 결혼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이때 나는 결혼이 필수가 아니라 선택이라는 것을 처음 알았다. 그리고 결혼을 선택하지 않는 것은 “자유” 때문이라는 것도 알았다.
탕자자 이화여대 다문화·상호문화 박사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