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감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10일 국민의힘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과 만나 “청년들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의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며 2030 청년층을 겨냥한 ‘옥중 메시지’를 내놨다. 탄핵심판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윤 대통령이 지지층 결집을 통한 여론전의 강화를 꾀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민의힘 김기현 의원은 이날 추경호·정점식·이철규·박성민 등 의원 4명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윤 대통령을 접견한 후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전하며 “(윤 대통령이) 당이 자유수호 주권 회복 의식과 운동을 진정성 있게 뒷받침해 주면 국민들의 사랑을 받지 않겠냐는 말씀도 하셨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이 이날 탄핵 반대 집회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으나, 최근 청년층에서 조금씩 확산하는 탄핵 반대 기류를 부각하며 여론전과 당내 결속 다지기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제기된다. 지난 8일 동대구역 광장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는 경찰 추산 5만2000여명이 모였고, 일부 청년들도 연단에 올라 발언하는 등 2030세대의 참여도 눈에 띄었다.
윤 대통령 지지층 결집을 위한 국민변호인단에도 청년층 모집이 늘고 있다. 이날 오후 3시 기준 13만명을 넘어선 국민변호인단을 이끄는 석동현 변호사는 “특히 20∼30대 청년과 그동안 무심했던 40대의 참여가 폭발적”이라고 말했다. 지난 3일 온라인 모집을 시작한 국민변호인단은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에 반대하는 실명 서명을 통해 가입할 수 있어 사실상 탄핵 반대운동으로 분류된다.
이날 공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국민의힘 지지도는 30대에서 4.8%포인트, 20대에서 1.5%포인트 상승했지만, 더불어민주당 지지도는 30대에서 10.8%포인트, 20대에서 4.7%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선포의 ‘법적 정당성’도 재차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윤 대통령께서 이번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은 나라가 여러 가지 위기에 있다는 판단에 의해 이뤄진 것이라고 말씀하셨고, 헌법 절차 범위 내에서 모든 것이 이행됐다고 하셨다”고 전했다. 최근 범여권 대선후보 중 지지율 1위를 달리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도 이날 국회에서 열린 ‘K-방산 수출 지원을 위한 당정협의회’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계엄이 내란이라는 등식은 대한민국 어느 법조문에도 없다”며 “계엄은 대통령의 고유한 권한 중 하나”라고 옹호했다.
김 의원은 또 윤 대통령이 “잘 지내고 있으니 걱정하지 말라고 하셨으며, 날이 추운데 당 지도부와 중앙정부, 의원들과 각 당협은 지방자치단체와 잘 협력해 어려운 분들, 자립 청년, 영세 자영업자를 잘 챙겨 달라고 하셨다”고 전했다.
이날 접견은 윤 대통령 구속 이후 여당 의원들과의 세 번째 만남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권성동 원내대표와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나경원 의원과의 첫 접견을 가진 뒤 7일에는 윤상현·김민전 의원과 면담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첫 면담에서도 “당이 하나가 돼 2030 청년들을 비롯해 국민께 희망을 만들어줄 수 있는 역할을 부탁한다”는 청년층을 겨냥한 당부의 말을 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두 번째 면담에서는 “헌법재판소(탄핵심판)에 가길 잘한 것 같다”며 헌재 편향성을 부각하는 취지의 발언을 이어갔다.
윤 대통령이 ‘옥중 정치’를 이어간다는 비판은 거세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한민수 대변인은 지난 9일 “윤 대통령이 옥중 정치로 여당을 줄 세우고 있다”고 비판했다.
여권 내에서는 윤 대통령의 ‘옥중 정치’에 동조하는 여당 의원들을 향한 비판 목소리도 나온다. 국민의힘 김종혁 전 최고위원은 이날 SBS 라디오에 출연, “(여당 의원들이) 대통령이 얘기하는 것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날도 국민의힘 강전애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윤 대통령은 구속취소돼야 한다”며 “현 상황에서 윤 대통령에게 증거인멸의 우려가 남아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