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버튼

포스텍 "세계서 가장 빠른 테라헤르츠 광변조 기술 개발"

포항가속기연구소와 공동 연구, 초고속 데이터 전송 등에 활용

경북 포항가속기연구소는 신희준 박사 연구팀이 포스텍(포항공대) 노준석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테라헤르츠(㎔) 대역 광변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광변조 기술은 빛의 세기, 주파수, 위상을 조절해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이다.

테라헤르츠 메타물질 기반 초고속 능동형 광 변조 기술. 포항가속기연구소 제공

이 기술은 입체 영상 구현이 가능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정밀 실험·측정에 활용하는 펄스파 제어, 빛을 이용한 초고속 데이터 전송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테라헤르츠 파는 기존 마이크로 파보다 폭이 훨씬 넓어 6세대(G) 통신, 양자통신, 광통신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국내외 연구진은 초고속 광학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테라헤르츠 대역 광변조 기술을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포항가속기연구소와 포스텍 연구팀은 포항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해 광변조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1.3 피코초(1조분의 1초)라는 세계 최단 스위칭 속도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기존 테라헤르츠 대역 광변조 기술보다 빠른 기술을 개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초고속 데이터 전송, 차세대 이미지 처리 시스템, 정밀 의료 진단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신 박사는 "이번 연구는 테라헤르츠 주파수 대역에서 광변조 속도의 시간적 한계를 극복한 중요한 이정표"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어드밴스트 사이언스 온라인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