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수입 자동차와 엔진·변속기·파워트레인·전자 등 핵심 부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담은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덕에 무관세로 자동차를 수출해 온 우리 업계는 다음 달 3일부터 ‘관세 폭탄’을 맞게 됐다. 지난 12일부터 관세가 부과된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까지 트럼프발 관세전쟁에 휘말린 만큼 비상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우리 자동차는 지난해 미국에 347억4400만달러(약 51조원)어치 수출됐다. 전체 자동차 수출액의 49.1%나 됐다. 관세 부과로 현지 경쟁업체보다 가격 경쟁력이 저하된다면 수출에 심대한 타격이 우려된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관세 25% 부과로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작년 대비 18.59% 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간 우리 완성차 업계는 미국 내 생산 역량을 키우는 방향으로 관세 파고에 대비해 왔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이날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미국 내 세 번째 생산 거점인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준공식에서 “관세 발표 후 협상은 정부 주도하에 개별 기업도 해야 하므로 그때부터가 시작이 될 것”이라며 민·관 협력 대응을 강조했다. 정부도 새겨들을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