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40곳 중 38곳 ‘전원 복귀’…1년 만에 ‘원점’

정부가 의대생 복귀 시한으로 잡았던 31일 기준 전국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가운데 38개 의대 학생들이 전원 복귀했다.

 

지난해 2월 정부의 증원 발표에 반발해 집단휴학으로 파행했던 의대 교육이 1년여 만에 정상화 될 전망이다.

 

정부가 정한 전국 대다수 의대가 등록을 마감하는 가운데 31일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앞에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뉴시스

의료계와 대학 등에 따르면 이날 기준 40개 의대 가운데 38곳의 의대생 사실상 전원이 1학기 등록 또는 복학 신청을 마쳤다.

 

일부 대학은 이날 밤 12시 마감 전까지 전원 완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원 복귀’ 하지 않은 의대 2곳은 인제대와 한림대다. 

 

두 대학을 제외하더라도 40개 의대 중 95%에 해당하는 38개 대학의 학생들이 모두 돌아오면서,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을 약속한 대신 ‘이달 내 전원 복귀’ 기준을 충족할 가능성이 커졌다.

 

교육부도 전원의 의미에 대해 100%가 아니라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정부는 등록 자체가 아닌 수업 참여도를 기준으로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때문에 학생들은 복학하더라도 4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강의를 실제로 듣느냐에 달렸다.

 

교육부의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발표도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지켜본 뒤 이르면 다음 주에나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학생들이 복학 후 재휴학하거나 수업에 불참한다면 진짜로 복귀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기존 정원인 5058명이 유지된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등록금을 납부했다고 복귀했다고볼 수 없다”며 “실제 수업 참여 여부를 보려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