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헌법재판소를 향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4일)에 재판관 8인의 만장일치된 의견으로 윤 대통령 파면 결정을 내려달라고 촉구하는 장외 비상행동을 전개하는 한편 최상목 경제부총리 탄핵 추진 및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의 외교부 특혜 채용 의혹을 동시 저격하는 등 대여 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을 태세다.
민주당 황정아 대변인은 2일 국회에서 당 비공개 최고위원회의 이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헌정수호를 위한 헌재의 만장일치 파면 선고를 촉구한다”며 “당은 윤 대통령 파면 촉구를 위한 비상행동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 대변인은 “국회의원 비상대기 태세와 원래 서울 광화문에서 하고 있던 장외활동을 계속 병행한다”며 “파면 촉구 메시지를 일관적으로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 권한대행 한덕수 국무총리와 최 부총리를 향한 질타도 이어졌다. 황 대변인은 “윤 대통령 임기 동안 법안 거부권(재의요구권) 행사가 41번이면 독재자 이승만이 11년간 45회였다. 이에 비춰보면 (윤 대통령은) 단일기간 최다 거부권 남발 행위를 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한 권한대행이 전날 상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한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최 부총리가 환율 상승 국면에 미국 국채를 보유한 점도 도마에 올렸다. 황 대변인은 두 사람을 “국정 파탄의 공범”이라고 했다.
심우정 총장의 자녀 특혜 채용 의혹도 집중적으로 파고들 태세다. 민주당은 전날 발표된 심 총장 자녀 의혹 진상조사단에 정준호·모경종 의원 등을 추가 투입해 전력을 보강했다. 이와 관련, 강유정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외교부가 특혜 채용 의혹이 제기된 심 총장 딸의 채용을 보류하고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했다”며 “검찰총장 딸의 특혜 채용 비리 의혹에 한낱 감사 청구가 웬 말이냐”고 날을 세웠다.
강 대변인은 “심 총장의 딸은 외교부 채용에 응시하면서 자신의 경력을 서울대 국제학연구소 ‘연구보조원’이라고 써냈다. 하지만 당시 심씨의 직책은 ‘석사연구생’, 즉 조교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강 대변인은 “표창장 하나로 수십곳을 압수수색했던 조국 일가 때의 검찰 수사를 온 국민이 똑똑히 지켜봤다”며 “철저한 수사로 무결성을 입증하지 않는 한 심 총장은 남의 죄를 물을 자격도, 검찰 수장은커녕 검사 자격도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