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외교안보전략이 구체화하면서 미국 내에서도 결이 다른 메시지가 발신되고 있다. 존 케인 미 합동참모본부 의장 후보자는 그제 상원 군사위 인사청문회에 제출한 답변서에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과 핵 프로그램은 미국에 즉각적인 안보 도전을 야기한다”며 주한·주일미군 감축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자신이 의장에 인준되면 “‘프리덤 에지’(한·미·일 3국 다영역 훈련) 등 군사협력과, 3국 미사일 데이터 경고 공유 메커니즘 등을 3국 안보협력의 청사진으로 활용하는 것을 계속 옹호할 것”이라고도 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미군 최고 수뇌부가 대외 환경 변화와 관계없이 한·미·일 협력체계가 굳건하다는 언급을 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미심쩍은 부분도 없지 않다.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해외 군사 개입 축소 방침을 천명하며, 세계 경찰국가로서의 사명과 책임을 벗어던지려 한다. 대신 해외 주둔 미군을 구조조정하고, 동맹국에 더 많은 안보 비용을 청구하는 방식으로 향후 5년 동안 매년 국방비를 8% 감축할 계획이다. 주한미군과 주일미군도 예외가 아니다. 미국이 원하면 언제든 차출 내지 감축은 기본이다. 우리로선 대북 군사위협 억제 기능 약화가 불 보듯 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