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대통령실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선고로 2년11개월 만에 문을 닫을 가능성이 커졌다. 여야 대선 주자들이 6·3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용산 대통령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며 대통령실 재이전 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다. 앞서 윤석열정부는 청와대가 조선총독부 관저·경무대에서 이어진 권위주의, 제왕적 문화의 상징이라며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했다. 그러고는 국민과의 소통을 약속했다. 하지만 용산 대통령실은 오히려 불통의 온상으로 변질됐다.
이승만정부부터 문재인정부에 이르기까지 역대 대통령의 공간이었던 청와대로의 재이전에 무게가 실린다. 집무실과 관저가 잘 갖춰진 데다 의전행사 등에 용이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반면 청와대 흉지설은 걸림돌이다. 청와대에 입성했던 대통령들의 말로가 모두 불행했다는 것을 근거로 든다. 그러나 풍수학자인 김두규 우석대 교수는 언론 기고에서 “풍수상 흉지라는 술사들의 떠벌림이 청와대 터에 누명을 씌웠다”고 주장했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2022년 출간한 저서 ‘왜 대통령은 실패하는가’에서 “대통령들의 말로가 불행했다면 그것은 막강한 대통령 권력을 남용한 개인의 불행이었지 국가의 불행은 아니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