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주입식 영어교육의 뿌리 ‘일제 잔재’ 파헤쳐

KBS1 ‘역사스페셜’
국내에서 한 해 쏟아붓는 영어 사교육비는 약 15조원에 이른다. 영어 발음을 위해서라면 혀 수술까지 감행하는 영어 만능 풍조는 이 땅에 언제부터 자리 잡기 시작했을까. 8일 오후 10시 방송되는 KBS1 ‘역사스페셜-잉글리시 조선 상륙기’는 영어에 집착하는 대한민국의 자화상을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가 분석한다.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당시 국내에는 영어를 제대로 할 줄 아는 사람이 단 한 명도 없었다. 결국 중국인을 매개로 3중 통역을 거쳐 수교협상을 진행했고, 그로부터 몇 년 후 조선에는 영어 열풍이 몰아치기 시작했다. 1885년 최초의 관립영어학교인 ‘육영공원’이 설립됐고, 서양 선교사들에 의한 배재학당·이화학당 등 사립 학교들이 줄줄이 문을 열었다. 고종황제는 황태자에게 개인 선생을 붙여 과외를 시켰고, 친히 육영공원으로 행차해 영어시험 감독을 하기도 했다.

조미수호통상조약 이후 생겨난 영어학교에서 서양인이 조선인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있다.
배재학당 교장으로 활동했던 아펜젤러는 회고록에서 “조선 사람에게 ‘왜 영어공부를 하느냐?’고 물으면 하나같이 ‘출세하기 위해서’라고 대답한다”고 적어놓았다. 그의 말마따나 조선 사람에게 영어는 신분상승과 입신출세의 지름길로 통했다. 영어 하나로 찹쌀떡 장수에서 고관대작으로 올라간 이하영이 그 대표적인 신화였다.

1900년대 영어 때문에 조선 학생들이 동행휴업하는 사태도 종종 벌어졌다. “발음이 나쁜 일본인 영어교사를 조선인으로 바꿔달라”는 요구였다. 을사늑약 이후 일제가 영어 교사를 일본인으로 채우면서 발음에 문제를 제기하는 사례가 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일제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시스템 자체를 일본식으로 바꾸어버렸다. 말하기 위주였던 조선의 학습방식은 문법과 독해를 강조하는 일본식으로 변질됐다.

프로그램은 한국 사회의 고질적 문제로 떠오른 주입식 영어교육방식의 기원에 일제의 강요가 있었다고 지적한다.

이현미 기자 engin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