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한국 '펀더멘털' 이번엔 정말 괜찮을까

당국 이구동성 “노 프로블럼”
1997년 외환위기 때도 “튼튼”
신흥국 비해 상대적 양호 불구
기업 자금조달·가계부채 ‘부담’
‘버냉키 쇼크’에 다시 ‘펀더멘털’이란 용어가 회자한다. 한국은 경제기초(펀더멘털)가 양호하니 크게 걱정할 필요 없다는 게 요지다. 정부 관료, 한국은행 간부, 민간 경제전문가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얘기다.

한국은행의 한 금융통화위원은 “한국은 노 프로블럼(No Problem)”이라고 했다. 양호한 경제여건으로 미국 양적완화 축소의 충격을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추경호 기획재정부 1차관이 23일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밝힌 낙관론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기업 자금조달 어려움과 가계 이자상환 부담 증가는 우리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일찍이 국가부도 위기를 겪은 바 있는 한국인에겐 ‘펀더멘털 트라우마’가 있다. 1997년 말 외환위기가 코앞인데도 강경식 당시 경제부총리는 “펀더멘털은 튼튼하다”고 했다. 이후 펀더멘털 운운하는 것은 ‘믿기 어려운 수사’가 돼 버렸다.

이번엔 다를까. 이틀간의 금융시장 모습을 보면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이기는 하다. 환율과 주가가 다른 신흥국에 비해 덜 요동쳤다. 코스피는 19일 1888.31에서 21일 1822.83으로 3.47% 하락했다. 인도네시아 6.75%, 러시아 5.38%, 멕시코 4.92%, 필리핀 4.80% 등에 비해 낙폭이 작았다.

금융시장 반응이 지나치다는 진단이 나오는 것도 양호한 펀더멘털 때문이다. 한은 한 간부는 “주가가 그렇게 빠질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미국 출구전략 시간표에 담긴 미국 경기회복 신호보다 유동성 회수 등 부정적 신호에만 과민하게 반응한 결과라는 것이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 21일 “(버냉키 발언이) 미국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는 논의에서 나왔다는 건 우리 경제에 플러스”라고 했다.

펀더멘털이 우호적인 것만은 아니다. 뛰기 시작한 금리로 기업 자금조달은 더욱 어렵게 됐다. 가계부문은 특히 심각하다. 지난해 말 최고점을 찍고 한풀 꺾이는 듯하던 가계부채는 4·1부동산대책 이후 다시 급증세로 돌아선 상황이다. 자영업자 등 부채를 포함하면 1000조원을 넘어선 지 오래다. 금리상승으로 가계의 이자상환 부담은 갈수록 커질 테고 이는 부동산시장 침체 심화, 금융회사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당장 4월 말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잔액 725조9000억원만 대상으로 추산해도 연간 이자부담은 한 달 전에 비해 2조5000억원 가까이 증가할 전망이다. 22%가량의 고정금리 대출을 제외한 잔액에 국고채 3년물 금리 변동(연 2.60→3.04%)을 반영한 추산이다.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은 재임 당시 “가계부채를 생각하면 밤잠을 못 이룬다”고 했다.

류순열 선임기자 yoosy@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