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세월호 1년, 리멤버 0416] “안전사회 건설로 세월호 트라우마 극복 노력을”

전문가 제언
지난 1년 동안 세월호 참사를 지켜본 전문가들은 “아직도 대한민국은 안전하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큰 재난을 겪었지만 이를 안전사회 건설의 계기로 삼지 못하고 오히려 더 큰 불신을 낳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기본에 충실한 안전사회 건설을 통해 세월호 트라우마를 극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대엽 고려대 교수(사회학)는 16일 “참사 이후 1년이 지났지만 변한 점이 없으며 오히려 국민이 느끼는 고통과 불안은 더 커졌다”며 “세월호 정국이 장기화하면서 국민이 양분되고 증오와 적대를 심어주는 양상이 됐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국민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패러다임을 선택해야 한다”며 “국민이 모든 정책과 제도를 국민의 삶을 향하도록 하는 생활 정치의 패러다임을 지향해야 경쟁·효율 위주의 정부 운영에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세월호 참사 때 희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경기 안산시 단원고등학교 학생들이 16일 세월호 희생자 정부 공식합동분향소를 찾아 합동조문을 하고 있다.
안산=이제원 기자
청주대 김영재 교수(정치학)는 “당국자뿐 아니라 국민적 차원의 의식 개선이 필요하다”며 “세월호 후유증은 압축성장을 해온 한국 사회 전반의 문제로, 이제는 국가를 다시 건설한다는 마음을 가지고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세월호 참사는 지금도 대한민국에서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고 지적한 뒤 “효율성에 방점이 찍히는 한 안전문제는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며 “사회 구석구석을 살피는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세월호 참사로 생긴 트라우마를 슬기롭게 치유해야 한다는 조언도 이어졌다. 아주대 이순영 교수(의과대학)는 “기억이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트라우마는 1년이 지나면 회복 단계에 돌입하게 된다”며 “이제 세월호 참사도 1주기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회복의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지역 사회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 활동을 통해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어떤 형태로든지 재난이 없으리라는 법은 없다”며 “세월호 트라우마 치유를 계기로 이후 일어날 수 있는 재난에 대해 공동체가 어떤 식으로 회복할 수 있을지 좋은 예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덕성여대 최승원 교수(심리학)는 “가장 중요한 치유 방법은 ‘이런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회적인 믿음을 심어주는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최 교수는 “심리적으로 볼 때 가장 큰 문제는 국민이 ‘어떤 것도 믿을 수 없다’는 집단적인 공황상태에 빠진 것”이라며 “국가가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세준·이우중 기자 3ju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