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는 그동안 1992년 수교 이후 최고 수준의 한·중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자평했다. 한·중 정상의 통일문제 논의, 중국의 탈북민 문제 협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및 발효, 중국 주도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한국 가입 등이 주요 근거로 제시된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9·3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하기도 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9월 중국 베이징 톈안먼 성루에서 각국 정상 등과 함께 ‘항일(抗日)전쟁 및 세계 반(反)파시스트 전쟁 승전 70주년’(전승절) 기념식을 지켜보며 손뼉을 치고 있다. 오른쪽부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박 대통령. 베이징=서상배 선임기자 |
김준형 한동대 국제정치학부 교수는 “(중국이 12·28 합의는) 미국의 작품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한·중 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우리가 균형외교를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이 올 것”이라며 “우리가 한·일 관계에서는 물론 한·중 관계에서도 ‘과거사’라는 전략적 카드를 너무 성급하게 포기했다”고 지적했다.
한·중 해양경계획정 회담에도 12·28 합의의 불똥이 튈 가능성이 있다. 이어도 관할 문제 등을 다룰 한·중 해양경계획정회담은 지난해 12월 제1차 회의에 이어 올해부터 본격적인 협의에 들어갈 예정이었다. 그동안 부정적 전망도 있었으나 2014년 한·중 정상회담 이후 중국이 미온적 입장에서 벗어나 적극적 자세로 임하고 있는 점과 우호적인 양국 관계를 들어 좋은 결과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신상진 광운대 국제학부 교수는 “12·28 합의로 한·중 관계가 경색되면 이어도 문제를 풀기 어려워지는 측면이 있다”며 “과거처럼 한국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인지 회의하는 중국이 공세적으로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탈북민 처리 문제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중국은 탈북민의 절대 다수가 경유하는 제1차 도착지다. 박근혜정부 출범 후 중국 당국은 중국 영토 내에서 탈북민이 체포될 경우 “탈북민이 희망하는 지역으로 보내달라”는 우리 정부의 요청을 감안해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청중·염유섭 기자 c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