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북한이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수소폭탄'이란

수소폭탄 폭발 장면.

북한이 6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서 '수소폭탄' 실험을 실시했다고 발표하면서 수소폭탄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북한 조선중앙TV는 이날 "조선노동당의 전략적 결심에 따라 주체105(2016)년 1월 6일 10시 주체조선의 첫 수소탄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고 전했다.

군은 북한의 주장대로 수소폭탄을 개발했다기보다는 그 전 단계인 증폭핵분열탄 실험을 했을 가능성을 더 높게 평가해왔다.

수소폭탄의 전 단계인 증폭핵분열탄은 핵폭탄 내부에 이중수소와 삼중수소 혹은 리튬-6을 넣어 핵분열 반응의 효율을 높인 핵무기다. 일반적인 핵폭탄에 비해 위력이 2∼5배 크다.

수소폭탄은 기폭장치로 핵분열 원자탄을 사용하지만 수소의 동위원소인 삼중수소, 중수소의 핵융합 연쇄반응으로부터 폭발력을 얻는 폭탄이다. 플루토늄이나 우라늄을 이용한 핵분열 무기보다 파괴력이 크다.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는 올해 초 보고서에서 북한의 핵융합 실험 가능성을 제기한바 있다.

화방사의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1989년 5월 8일 노동신문을 통해 '김일성종합대학 연구집단'에서 상온 핵융합 반응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2010년 5월에는 상온 핵융합반응 장치를 설계제작했다고 주장했다.

2013년 1월 20일에는 '수소-붕소 핵융합에 의한 직접발전 기술'이란 내용으로 '플라즈마집초 방식'의 핵융합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국군화방사는 "북한이 상온 핵융합반응 방식에서 플라즈마집초 방식으로 핵무기 융합방식을 전환하는 것 아니냐"고 분석했다. 플라즈마집초 방식은 엄청난 전기가 필요하지만, 수소와 붕소를 이용해 핵융합을 할 수 있다.

국군화방사는 "5MWe 원자로와 연결된 소형 건물을 삼중수소 분리시설로 추정할 수 있고, 신축 중인 경수로와 그 아래 건축물이 중성자를 조사(내리쬠)할 수 있는 시설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2014년과 2015년 5MWe 흑연감속로 주변에서 다수의 화물차량이 물건들을 이동시키고 하역하는 장면이 수차례 포착된 것도 이런 활동의 징후로 분석된다는 것이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