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아시아에 갇힌 국제문화교류 틀을 깨라

문화관광연 연구보고서 분석
‘돈도, 인력도, 조직도 부족하다.’

국제문화교류를 추진하는 기관들이 어려움을 호소하는 부분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외국과의 문화교류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시스템이 부족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혜인 부연구위원이 책임을 맡아 문화교류를 진행 중인 국내외 기관을 대상으로 지난해 실시한 ‘국제문화교류정책 중장기 계획 연구’에서 나온 결과다. 문화교류의 절반은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지역을 다양화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연구팀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등 국내의 문화교류 관련 공공 기관 및 수행 기관을 대상으로 ‘현재 진행 중인 국제문화교류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개선 사항’(복수응답)을 물은 결과 ‘전체 예산부족’을 꼽은 응답이 53.3%로 가장 많았다. ‘사업수행 인력부족’이라는 대답이 43.3%로 뒤를 이었고, ‘사업 담당자의 잦은 교체’도 36.7%에 달했다. 연구팀은 “재정지원, 인력지원, 교류체계 구축의 필요를 드러내는 지점이다”고 분석했다. 한국과 문화교류를 하고 있는 국외 기관을 대상으로 같은 질문을 했을 때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전체예산 부족’이 47.8%였고, ‘사업 담당자의 잦은 교체’라고 대답한 비율도 19.6%에 달했다. ‘장기 프로젝트의 부족’을 지적한 응답이 28.3%로 두 번째로 높은 것도 눈에 띈다. 

국제문화교류는 해외 각국에 우리의 문화를 알리고, 우리가 세계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예산, 인력, 시스템의 부족 등으로 적잖은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사진은 덴마크 왕실 도자기를 소개한 한 행사. 아래 사진은 외국인 학생들이 한국의 전통놀이인 투호를 하는 모습.
세계일보 자료사진
현재 집중적으로 국제문화교류를 진행하고 있는 지역은 동남아시아 26.5%, 동아시아 23.5%로 아시아 지역이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은 20.6%였다. 미주 지역의 비율은 상당히 낮았다. 북미와 남미 각각 5.9%, 2.9%였다. 아시아, 유럽과 나머지 지역의 차이가 워낙 커 문화교류 대상권역을 확장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외국기관이 한국과의 문화교류 경험이 없는 이유로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인지도 부족’(14.8%), ‘파트너 기관 선정의 어려움’(〃)이 꼽혀 한국문화에 대한 홍보와 교류기관의 다양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국제문화교류를 위한 전문성 강화’를 제안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국제문화교류 진흥기반 마련을 위한 법제도 정비’를 먼저 꼽았다. 관련법에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문화교류에 필요한 정책을 수립할 책임을 부여하고, 종합계획을 마련한 의무를 명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봤다.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진행하고 있는 ‘국제문화교류 전문 인력사업’을 심화,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구체적인 전문인력 육성책은 ‘해외기관 진출 지원’, ‘재외문화원 인력으로 활용’, ‘문화교류 기획프로젝트 지원’ 등을 꼽았다. 연구팀은 ‘교류대상 및 우리 문화교류자원에 대한 정보 및 연구자료 개발 및 제공’, ‘대표적 문화교류 창구의 전문성 제고’ 등도 전문성 강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중동, 중앙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과의 교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류 수요와 영역을 파악하고, 지원사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교류 비활성화지역과의 사업을 계획하는 단체에는 대상지역의 문화예술 환경, 정책체계 특징, 주요 인적 네트워크 등의 정보 관련 컨설팅 지원을 지원하고, 민간교류 단체가 신규 프로그램을 기획하려 하는 경우 우선 지원 대상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강구열 기자 river910@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