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무난한 정착 분위기 '기술신용대출'

기술신용대출 연체율, 일반 中企대출 연체율보다 훨씬 낮아
“기술 평가로 부실위험 줄인다”

재작년 7월 도입된 기술신용대출이 무난하게 정착하는 분위기다.

현재 기술신용대출의 연체율은 일반 중소기업대출은 물론 주택담보대출 연체율보다도 오히려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그만큼 부실위험이 적어 꾸준한 대출 시행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풀이된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1년 반쯤 진행 중인 기술신용대출의 연체율은 매우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시중은행 고위관계자는 “신용대출임에도 연체율이 꽤 낮다”며 “중소기업대출 연체율뿐 아니라 가계대출, 특히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에 의하면, 지난해 11월말 기준 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98%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2%,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1%로 집계됐다.

이에 반해 기술신용대출 연체율은 대체로 0.1~0.2%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A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10월말 기준 기술신용대출 연체율은 0.1%”라고 말했다.

B시중은행 관계자는 “아직 집계가 안 끝났지만, 지난해말까지의 연체율 수치가 0.2% 이하일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와 관련, 시중은행 기술금융 담당자는 “일반적인 신용대출과 달리 신용등급, 재무제표 등 외에 기술 평가까지 가미하기에 부실위험이 더 감소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술 평가는 단지 특허 등 기술력에 대한 평가만이 아니라 이 기술이 해당 기업의 매출로 이어질 수 있는지 면밀히 살펴본다”며 “따라서 실패할 확률이 낮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은행의 기술평가 인력이 기술금융평가기관(TCB)의 인력보다 우수하다”며 “은행 자체 기술평가가 정착되면, 부실 위험이 더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에 대해 신중한 의견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술신용대출이 실시된지 겨우 1년 6개월 정도밖에 지나지 않았다”며 “앞으로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술신용대출의 초기 정착이 중요한 것을 모든 은행이 다 안다”며 “애초에 1년 반만에 연체될 정도로 위험한 곳에 빌려주겠느냐”고 반문했다.

한편 지난해 11월말 기준 기술신용대출의 잔액은 총 58조3981억원에 달했다.

기업은행이 14조5575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신한은행(9조4710억원), KB국민은행(9조1158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안재성 기자 seilen78@segye.com

<세계파이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