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한은, 기준금리 7달 연속 연 1.50% 유지… 이유는?

한국은행, 14일 올해 첫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개최
美 통화정책 정상화 따른 내외금리차 축소 우려-가계부채 폭증

올해 첫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됐다. 지난해 12월부터 시작된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라 미 연방기금금리 인상이 시작되면서 현 수준에서 금리를 더 낮추기는 무리라는 시각이 작용했다.

14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행 연 1.50%로 유지하기로 했다. 작년 6월에 기준금리를 기습적으로 0.25%p 내린 후 일곱달 째 동결 결정을 내렸다.

이번 금융통화위원회 개최 전부터 금리는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금융투자협회가 국내 채권 보유·운용 종사자 101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8%가 한은이 이달에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응답하기도 했다.

기준금리 동결 이유로는 미국의 금리인상과 지난해 폭증한 가계부채 영향이 컸다.

연초부터 중국발 증시 불안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졌으나 미국 내 경기 지표는 호조를 보여 오는 3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가 올라갈 가능성이 확대됐다.

특히 지난 주말 발표된 12월 고용지표를 보면 미국의 12월 비농업부문 고용은 29만2000여건 증가해 시장 예상치(21만건)를 큰 폭으로 상회했다. 실업률 역시 3개월 연속 5%를 유지했다. 다만, 고용호조만큼 임금 상승이 이뤄지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시중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639조1000억원으로 전년말대비 78조2000억원 폭증했다. 연간 가계대출 증가액은 2008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가장 큰 구모다. 이 중 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70조3000억원으로 가계대출의 증가분의 90% 가량을 차지했다.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더 낮출 경우 미국과 한국의 금리차가 좁아져 자본유출 우려가 커질 뿐 아니라 가계대출 역시 확대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국내의 부진한 경기회복세 때문에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되려 미 금리인상의 속도가 예상보다 완만할 것으로 예상될 뿐 아니라 중국 경기 부진으로 인한 충격 때문에 금리인하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 같은 주장은 금리 결정 이후 오후에 발표되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지난해 10월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3.2%로 제시한 바 있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0.1%~0.2%p 하향에 그쳐 상징적인 의미로 3%대를 유지할 것이나, 시장이 체감하는 성장률은 2% 중반에 머무를 것"이라며 "1월 금통위를 기점으로 인하 기대감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런 기대감을 반영해 현재 채권시장은 연초부터 강세를 보이고 있다. 국고채 1년물의 경우 전날 1.587%로 마감했고 국고채 3년물, 국고채 10년물은 각각 1.780%, 2.025%로 집계됐다.  

김지만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성장률 전망치가 하향조정되겠지만 그 폭이 당장 금리인하가 요구되는 수준을 아닐 것으로 본다. 하지만 경기에 대한 낙관론을 지속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김슬기 기자 ssg14@segye.com

<세계파이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