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로봇산업 육성에 힘 쏟는 세계 각국 지도자들

세계 각국이 로봇시장 선점을 위해 뛰고 있다.

미국과 일본, 유럽연합(EU), 중국 등 주요국은 로봇산업이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일찌감치 관련 산업과 연구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특히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신조 일본 총리, 시진핑 중국 주석 등 국가 원수들이 전면에 나서서 산업육성에 대한 강력한 정책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다.

16일 국회 입법조사처가 발표한 ‘로봇산업의 산업연관효과 분석 및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2011년 미국 ‘제조업 부흥’에 로봇을 적극 활용하는 ‘첨단제조 파트너십’(AMP)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라 미국은 2013년부터 ‘인간-협업 로봇(Co-robot)’, ‘혁신적 제조공정’, ‘첨단소재’ 등에 중점을 두고 첨단제조기술 R&D에 22억 달러를 투자했다. 현재는 국방부와 과학재단(NSF) 주도로 국방로봇, 우주탐사로봇 등에 집중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제조용과 건강의료, 서비스로봇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아베 총리는 지난 2014년 9월 로봇혁명 실현회의를 총리 직속 기구로 설치하고, 로봇 신전략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오는 2020년까지 로봇 시장을 제조 분야에서 현재의 2배(6000억 엔 → 1.2조 엔), 서비스분야에서 현재의 20배(600억 엔 → 1.2조 엔)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특히 일본은 산업용 로봇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개인용 서비스 로봇시장을 겨냥해 로봇산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감소에 대비하고 안전하고 편리한 사회환경을 실현하겠다는 차원에서다. 특히 액추에이터와 센서 등 핵심 부품 분야의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개발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또한 로봇 안전성이 주요 이슈로 대두할 것에 대비해 이미 지난 2000년 ‘생활지원로봇 안전검증센터’를 설치해 안전성 국제 표준·인증체계 선점에도 힘을 쏟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2014년 6월 “로봇기술이 제조업뿐만 아니라 국가의 경쟁력이다”고 발표하면서 향후 중국이 ‘세계 1위 로봇강국’이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에 따라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제1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2016~2020년)에 로봇 집중육성계획을 포함시켰다. 구체적으로는 2020년까지 세계 로봇 시장 점유율 45.0% 달성과 타산업과 로봇기술의 융합을 통한 200조원 규모의 신시장을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국제로봇협회(IFR)에 따르면 2013년 중국은 세계 최대의 제조용 로봇 구매국이 되었으며, 2017년 약 42만 8000대의 제조용 로봇 보유국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시진핑 국가 주석
유럽연합(EU)는 2000년부터 회원국 간 협업을 통해 로봇요소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복지 및 교통 등 전문서비스 로봇 개발 시장을 집중지원하고 있다. 2014년부터는 연구·혁신 프로그램 ‘Horizon 2020’을 통해 국민의 지속 가능 복지를 위한 ‘로봇동반자(RoboCom)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EU 집행기관인 유럽위원회는 보고서를 통해 중소기업(SME)용 로봇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2007년 기준 EU 6개국(스페인, 프랑스, 스웨덴, 독일, 폴란드, 이탈리아) 5500개 중소기업에 총 2만 7400대의 로봇이 도입됐다. EU는 세계로봇시장선점·강화를 위해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총21억 유로를 투자했으며 영국은 이와별도로 2025년까지 1억5000만 파운드를 로봇산업에 투자했다.

입법조사처는 이번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도 2003년 로봇산업을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선정한 이후 범부처 협력 전략을 세우는 등 적극적인 육성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국가 원수들이 전면에 나서서 주도하는 경쟁국과 달리 산업부 1차관이 위원장으로 있는 협의회와 산업부 기계로봇과만으로는 범부처협력사업의 적극적 추진이 어렵다”면서 관련 제도 및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동진 기자 bluewins@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