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는 “미국이 북한의 핵실험에 제재 조치를 포함한 광범위한 일련의 독자적인 대응 조치를 고려하고 있다”면서 “제3국을 겨냥한 세컨더리 보이콧은 북한의 주요 무역 상대국인 중국에 주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아시아 3개국 순방에 나선 존 케리(왼쪽) 미국 국무장관이 25일(현지시간) 첫 번째 순방국인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에서 통싱 탐마봉 총리와 회담하고 있다. 비엔티안=AP연합뉴스 |
국제사회가 대북 제재 방안을 논의하는 가운데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아시아 순방길에 나섰다. 이날 라오스에 도착한 케리 장관은 오는 27, 28일에는 중국을 방문해 북한 문제를 놓고 중국 측과 담판을 지을 예정이다. 케리 장관을 수행하고 있는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기자들에게 “케리 장관이 그 무엇보다 유엔 안보리 추가 제재 결의를 통해 국제사회가 연합전선을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케리 장관이 중국 측의 독자적인 대북 제재 필요성을 제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케리 장관은 유엔 안보리 결의와는 별개로 미국도 북한에 독자적인 제재를 단행할 것임을 중국 측에 통보할 예정이라고 이 당국자가 말했다.
케리 장관은 북한의 4차 핵실험 강행 직후 중국 책임론을 제기해 중국 측의 반발을 샀다.
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분명히 중국이 할 수 있는 일이 더 있다”고 잘라 말했다.
케리 장관은 방중 기간 시진핑 국가주석, 왕이 외교부장 등과 연쇄 접촉한다. 미국은 중국에 대북 원유 수출 중단과 북한산 무연탄 수입 금지를 요구하고 있다.
미 국무부의 고위 당국자는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2005년 6자회담에서 도출된 (9·19)공동성명을 기반으로 한 6자회담 틀에서의 협상이며, 그것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전 기간에 우리가 한결같이 추구해 온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국제사회가 마음을 바꾸고 핵무장을 한 북한을 용납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며 중국도 그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