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운데 한국 경제에 가장 큰 위협이 될 요인으로는 교역비중이 큰 중국의 ‘경제둔화’와 산업의존도가 높은 유가의 ‘하락’이다. 이로 인해 올해 건설, 정유·유화 업종에는 ‘봄볕’이 들겠지만 전자 자동차 기계 철강 섬유 조선 등 제조업 전반에는 중국발 한파주의보가 닥칠 예정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10여개 업종단체와 공동으로 ‘2016년 산업기상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던 건설업종은 그 호조세가 올해 상반기까지는 유지될 것으로 보여 ‘구름조금’으로 예보됐다. 올해 건설수주 전망치는 123조원으로 지난해와 2007년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상반기 시행되는 주택담보대출심사 강화, 대량공급된 아파트 분양물량 등 부정적인 요인도 있다.
정유·유화 업종 역시 구름이 조금 낀 날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안정적인 저유가세로 국내 석유화학 업계는 천연·셰일가스나 석탄을 주원료로 하는 미국, 중국보다 원가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제조업에서는 중국의 ‘굴기’가 진행되면서 국내 업체의 입지가 크게 위협받는 한 해가 될 수도 있다고 대한상의는 내다봤다.
전자·IT업종이 대표적인 ‘흐림’ 업종이다.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올해 성장률은 5년 만에 처음으로 한 자릿수(7.4)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공격적인 생산과 투자로 디스플레이는 1년 새 평균가격이 30 떨어졌고 TV는 수출 시장에서 평균 40 낮은 가격에 팔리고 있다.
한중 간 ‘제살깎아먹기’ 경쟁이 지속하는 철강도 여전히 ‘흐림’ 전망이다. 중국 업체들은 작년보다 29 싼 가격으로 물량을 쏟아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중국산 점유율이 40에 이른다. 그나마 건설경기 호조에 따른 철근 수요 증가세, 올해부터 공공건설에 시행되는 ‘자국산 우선 구매제도’가 단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업종 역시 저조한 흐름이 예상된다. 작년 개별소비세 인하로 사상최대치(180만대)를 기록했던 내수판매는 올해 3.1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반토막 났던 러시아(-64.8), 브라질(-56.4), 중국(-47.6) 등 신흥국 수출도 통화 약세로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기계업종, 석유·의류 업종의 예보도 ‘흐림’이다. 중국 경기 둔화에 엔저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김기환 유통전문기자 kkh@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