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호암에서 리움까지… 삼성가 명품 문화재 베일 벗다

이종선 지음/김영사/1만8000원
리 컬렉션/이종선 지음/김영사/1만8000원


삼성가 사람들의 예술품 수집 욕심은 유명하다. 돈 많으니 뭘 못하겠냐는 시샘 어린 눈길과 질투의 소리도 적지 않았다. 그럼에도 이병철 창업주와 그 아들 이건희 오너 등은 아낌없이 거액을 쏟아부어 국보급 문화재를 대량 수집하고 보관했다. 이 책은 그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저자 이종선은 학창시절 대학원 등록비가 없어 은사의 도움으로 호암미술관에 취직한 사람이다. 부관장을 지냈으며, 지금은 고고학자이자 박물관 전문가로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 출간에 대해 “삼성가 사람들이 오해와 편견 속에서도 미술관을 만든 것은 ‘공적인 환원’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책에선 명품 수집과 박물관에 관련된 에피소드와 내막 등 비밀스런 이야기들이 오롯이 소개된다. 

삼성의 호암미술관과 리움미술관이 보유한 국가지정 문화재. 가야금관(국보 제138호)
김영사 제공
이병철 회장의 집념은 대단했다. ‘복제품을 만들어 진품 대신 전시하도록 지시했다’는 가야금관(국보 제138호), 방탄유리로 쇼케이스를 제작했다는 청자진사주전자(국보 제133호), 우여곡절 끝에 해외에서 구입한 아미타삼존도(국보 제218호)에 얽힌 사연은 흥미롭다.

고구려반가상(국보 제118호)
고구려반가상(국보 제118호)과 골동품 가게 주인 김동현씨 사연도 눈길을 끈다. 김씨는 해방 직후 한 인부에게서 구입한 고구려반가상을 한국전쟁 중에도 품에 지켰고, 훗날 삼성이 인수할 수 있었다. “요즘 세상에 그분 같은 사람은 눈을 씻고 찾아도 없다. ‘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거들먹거릴 일만 찾을 뿐, 김동현의 경우처럼 평생을 걸고 반가상 한 점을 지키고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헌신하는 신의를 찾을 수 없었다.” 고구려반가상의 가치를 알아본 이병철 회장에게 선뜻 건넨 김씨 얘기는 가슴 뭉클한 감동을 준다.

청자진사주전자(국보 제133호)
삼성은 군부 독재의 엄혹한 시절 1970∼80년대에도 당대 서화가와 문사들을 후원하며 ‘국보 100점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저자는 “수집이란 어디까지나 애정과 갈망 그리고 집념의 문제가 아닌가. 애틋하고 간절한 갈망이 없었다면 이들의 수집이 그 수많은 풍파를 헤치고 나라를 대표하는 명품으로 간직하면서 오늘날 대중에게 선보일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저자는 “선대 회장은 수집 자체를 너무 서두르거나 고가의 작품에 휘둘리지 않았으며, 이건희 회장은 영화광으로서의 수집력을 발휘했고, 그 바탕 위에 수집가의 면목를 갖췄다”고 평했다. 이병철 창업주에 대해선 절제의 미학으로, 이건희 회장에 대해선 ‘명품주의’로 표현했다.

아미타삼존도(국보 제218호).
현재 서울의 리움미술관과 용인의 호암미술관에는 국보 37건과 보물 115건 등 152건이 전시되거나 보관되어 있다. 개인 소장으로 볼 때 국보급 문화재 152건은 놀랍다. 대표적인 사립박물관인 간송미술관과 호림박물관의 국보와 보물을 합쳐도 70건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저자는 “박물관이라는 개념조차 존재하지 않았던 시절에 시작된 삼성가의 수집과 박물관 건립을 바라보는 시선에는 의혹과 시샘, 질타가 있었다”면서 “구설이 뒤따랐고 각종 사회적 사건들에 얽히고설킨 뉴스들 속에 그들의 수집은 순수한 개인 욕심으로만 비쳐지지 않았다”고 했다.

이 책은 돈으로 따질 수 없는 국보급 문화재를 보유한 삼성가를 미화하는 것으로 비쳐질 수도 있다. 하지만 또 다른 차원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천이란 측면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정승욱 선임기자 jswoo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