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영 가톨릭대 법정경학부 교수와 이상철 한국은행 금융검사실 과장은 17일 열린 2016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 ‘가계부채 변수의 가계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통계청의 가계금융조사를 통해 소득분위별 회귀분석 자료를 도출했는데, 2010∼2011년에는 저소득층에서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소비지출의 회귀계수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와 하위 20∼40%인 2분위의 회귀계수는 각각 -1.163과 -0.866으로 나타난 반면에 소득 최상위 20%인 5분위는 0.147로 나타났다.
회귀계수의 마이너스 숫자가 클 수록 DTI에 따른 소비지출 감소 폭이 컸다는 의미다. 즉 소득 1, 2분위는 부채가 많을수록 소비가 크게 줄었들었지만 상위층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2012∼2014년 소득분위별 회귀분석 결과 모든 소득계층에서 가계부채가 소비를 떨어뜨린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계수는 -0.215(2분위)부터 -0.084(5분위)로 나타났다.
김 교수와 이 과장은 “2010∼2011년은 금융위기 이후 경기침체에서 회복하는 시기였고, 2012∼2014년은 유럽의 재정위기 등 대내외적 요인들로 경기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 우세했던 시기였다”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저소득층은 물론 고소득층에서도 높은 DTI가 가계소비를 억제했다”고 분석했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