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일본 도쿄 시내에서 시민들이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이날 일본 총무성은 지난해 일본 인구(10월1일 기준)가 5년 전보다 0.7% 감소한 1억2711만명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도쿄=AP연합뉴스 |
인구가 줄어들면 국가는 활력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출생이 줄어들면 노동 인구가 줄어 중장기적으로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본도 수년 전부터 저출산 대책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지만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효과를 거두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의 저출산 고령화 사회를 닮아가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일본의 인구 감소 사회 진입이 남의 일 같지 않다. 1970년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일본은 1994년 고령사회를 거쳐 2006년 초고령사회에 접어들기까지 36년이 걸렸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이에 비해 한국은 2000년 고령화사회, 2018년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보다 10년 빠른 속도다. 미국 중앙정보국 조사에 따르면 가임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의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2014년 한국이 1.25명으로 일본(1.40명)보다 낮다.
일본 정부와 여당은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신속한 대응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인구 감소는 전부터 예측됐던 것으로, 그에 대응하는 사회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희망출산율 1.8명 실현을 위한 시책을 실행에 옮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연립여당 파트너인 공명당의 이노우에 요시히사(井上義久) 간사장도 이날 “인구 감소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는 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의 활력을 어떻게 유지해 다음 세대에 바통을 넘길 것인가를 매우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도쿄=우상규 특파원 skwoo@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