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핵폭탄 공중서 터지면… 지상폭발보다 인명피해 10배

북 핵무기 공격 위력 분석해보니
2004년 10월 미국 핵전문가들은 미 정부의 ‘HPAC’ 프로그램을 이용해 서울 용산 500m 상공에서 15kt 위력의 북한 핵폭탄이 터지는 상황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62만명이 사망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세계일보가 분석에 사용한 시뮬레이터 ‘누크맵’에는 북한의 1∼3차 핵실험 데이터가 적용됐다. 위력이 작다보니 피해 결과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군사기밀 등이 포함된 HPAC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정보 양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그럼에도 접근이 제한적인 ‘HPAC’와 달리 누크맵은 일반인이 쉽게 핵폭탄의 위험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분석과정 및 결과

분석에 앞서 북한이 핵무기 사용을 결심하면 방사능이 북한 지역으로 퍼지지 않게 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풍향은 남서~남동풍, 풍속은 초속 15m로 설정했다. 핵폭탄이 공중폭발하는 상황은 고도 250m로 통일했으며, 지상폭발은 고도 0m에 맞췄다.

핵폭발 직후 발생하는 부산물로는 열선과 폭풍, 방사능 낙진을 포함했다. 핵무기가 폭발하면 섭씨 수천도 열이 빛과 에너지를 내뿜으며 광속으로 직진한다. 미리 방호조치를 하지 못한 사람은 심각한 화상을 입고, 눈을 다치면 앞을 볼 수 없어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음속으로 부는 폭풍은 차량과 항공기, 목조건물 등을 날려버린다.

1952년 11월 1일 미국에서 실시된 핵실험 직후 버섯구름이 피어오르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10.5메가톤 위력의 핵폭탄이 사용됐다.
이런 조건에서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핵폭탄을 공중에서 터뜨리면 지상폭발보다 인명피해가 2∼3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상에서 폭발했을 때는 인명피해가 적지만 방사능 낙진이 많이 발생해 광범위한 지역을 오염시켰다. 핵폭탄이 지상에서 폭발한 경우와 가장 유사한 게 바로 원자력발전소 폭발 사고다. 1986년 체르노빌 원전 폭발사고 당시 방사능이 북유럽과 서유럽까지 퍼지면서 서방을 공포 속에 몰아넣었다.

분석에서 10kt으로 추정되는 2013년 3차 핵실험 위력을 입력했을 때 13만~33만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남부지역까지 번져 핵전쟁의 경각심을 일깨웠다.

일반적으로 핵전쟁 시 인명·재산 피해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핵폭탄을 공중에서 폭발시키지만 견고한 지하시설을 파괴하려면 지상폭발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높은 고도에서 핵폭탄을 터뜨리면 전자기펄스(EMP)를 일으켜 전자장비와 통신체계를 마비시키는 작전도 가능하다.

북한이 핵무기를 사용한다면 우리 군 전쟁지휘기구를 무력화하는 ‘참수작전’에 사용하거나, 남침 경로를 방사능으로 오염시켜 우리 군 방어능력을 떨어뜨릴 가능성 등이 거론된다.

◆더 큰 문제는 2차 피해

북한의 네 차례 핵실험에서 볼 수 있 듯 핵무기가 폭발하면 지진이 발생한다. 북한 핵실험에선 진도 3.7~4.9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주요 건물의 내진 설계가 필수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국토교통부가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월까지 사용승인을 받은 건물을 기준으로 내진설계가 필요한 129만7878동 중 34.6%(44만9091동)만 내진설계가 적용됐다.

특히 부산(26.3%), 서울(26.7%), 대구(27.6%), 인천(29.3%) 등 인구밀집지역의 내진설계 비율이 낮았다. 지진은 가스관 폭발, 정전 등 다른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