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중앙대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강효정(사진) 교수팀은 미국 예일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다운증후군의 뇌인지 기능 저하 매커니즘을 규명했다. 다운증후군은 21번 염색체 하나가 추가로 복제돼 발생하는 유전질환이다. 이로 인해 발달이 더디고, 특히 뇌 발달의 이상으로 지적 능력에 문제를 유발한다. 뇌백질은 척추동물의 중추신경계가 모여 있는 곳이다.

연구팀은 다운증후군 환자의 사후 뇌조직에서 추출한 전장전사체(발현된 RNA의 총합) 양상을 14주차 태아에서 40세 성인까지 정상인의 뇌 발달 과정과 비교, 분석했다. 연구팀이 환자의 뇌조직에서 전사체를 추출해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환자의 뇌 발달과정에서 신경교세포의 일종인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분화가 정상인에 비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뇌 신경세포 간 정보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절연체인 미엘린 형성이 감소하는 것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그동안 뇌 발달 질환에서 뇌백질 기능이 연관돼 있다는 것은 알려졌지만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규명되지 않았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뇌인지 발달 장애 연구 및 치료의 중요한 단서를 쥐게 됐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뇌신경생물학 분야의 학술지인 ‘뉴런(Neuron)’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김선영 기자 007@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