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대한민국 길을 묻다] 문화격차 해소 정책은?

‘문화누리카드’ 등 올 예산 935억 / 주민 참여 ‘생활문화예술’ 주목
문화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으로는 크게 소외계층을 위한 통합문화이용권 사업과 지역 관객을 위한 ‘방방곡곡 문화공감’이 있다.

통합문화이용권은 소득에 따른 격차를 줄이려는 사업이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에 매년 5만원 상당의 문화누리카드를 발급해 공연·여행·스포츠 관람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올해 예산은 785억원이다. 지난해 이 혜택을 본 국민은 164만여명이다. 

시골 마을 작은영화관에서 주민들이 3D영화를 관람하고 있다.
자료사진
방방곡곡 문화공감은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해 마련됐다. 소외 지역에서 수준 높은 공연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서울을 뺀 전국의 지역문예회관이 국립오페라단·유니버설발레단 등을 초청할 수 있도록 경비를 지원한다. 자체 기획 프로그램의 운영 경비도 보조한다. 올해 예산은 150억원이다.

지역문화 발전의 걸림돌 중 하나로는 우후죽순 지어진 문예회관들이 제 기능을 못하는 점이 꼽힌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양혜원 연구원은 “국고가 지원되고 지자체장도 생색을 낼 수 있다 보니 지역에 문예회관이 많이 들어섰다”며 “그러나 고민 없이 짓다 보니 무대 자체가 좋은 공연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거나 운영비가 적어 놀리다시피 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양 연구원은 이어 “지자체의 재정 자립도를 고려했을 때 정부에서 운영 지원할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근에는 지역문화 차원에서 생활문화예술이 주목받고 있다. 지역에서도 공평하게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보는 것이 문화향유라고 여기기보다 지역 주민이 자발적으로 기타를 치고 공예를 즐기며 삶의 현장에서 소소한 문화를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생활예술이 발전하면 특색 있는 마을축제, 지역축제로 이어지고 삶의 만족도도 높아지리라고 보는 것이다.

송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