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도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다양한 대응책을 강구 중이다. 우선 AI를 정부 주도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AI는 지난 10일 열린 제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핵심적인 기반 기술로 분류돼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됐다. 국가 차원의 대대적인 투자로 AI 전문기업과 전문인력을 2026년까지 각각 1000개, 3600명으로 늘려 AI 핵심 기술의 성장 및 자립 기반을 만들겠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클릭하면 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
정부는 또 민·관 협력으로 언어·시각 인지, 학습 같은 AI 요소 기술을 개발하고 국방이나 치안 등 공공 분야에 AI 기술을 우선 적용할 계획이다. 정부가 AI 수요를 창출해 민간으로 확산하겠다는 복안이다.
앞서 지난 6월 제13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확정된 2017년도 정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에서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대응 분야의 연구·개발(R&D) 예산은 4707억원으로 배정됐다. 이는 올해 예산(3147억원)보다 49.6% 증액된 것이다. 특히 AI 분야 R&D 예산은 올해 919억원에서 내년에는 1656억원으로 80.2% 불어난다. 이 같은 움직임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세계시장을 선점해야 한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강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박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에서 “3차 산업혁명 시기까지 우리 경제는 다른 나라를 따라하는 추격자였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서는 전 세계가 과거에 없던 길을 만들어 가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더 이상 추격자가 아니라 선도자가 돼야 하고 우리가 노력하면 분명히 그렇게 될 수 있다”고 역설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고 있는 지금, 기업들이 신산업 진출을 두려워해 머뭇거린다면 경제의 역동적 발전은 요원한 일이 될 것”이라며 기업에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박진영 기자 jyp@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