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어제 이 사안을 정치권력과 관련된 대형 비리 의혹사건으로 규정하고, 국정조사와 청문회, 특검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최순실 게이트’의 진실을 밝히겠다고 공언했다. 더민주 우상호 원내대표는 “의혹 제기 수준을 넘어 범죄 사실로 확정된 수준”이라고 못박았다. 집권 새누리당 일각에서도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정병국 의원은 “미르·K스포츠재단 문제가 블랙홀처럼 모든 현안을 빨아들였다”며 “빨리 털고 갈수록 대통령의 부담도 덜고 남은 임기를 정상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고 했다.
최순실 게이트의 불똥은 이화여대로 번졌고 사퇴 압력을 받은 최경희 이대 총장이 어제 물러났다. 평생교육단과대학 설립 추진에 따른 학내 분규를 끝내기 위해 사퇴한다고 했지만, 정씨의 입학·학점 특혜 의혹으로 교수들이 사상 초유의 집단행동에 나서기로 한 것이 결정적 원인이다. 정씨는 승마 특기자로 부정 입학한 뒤 출석·학점 등에서 각종 특혜를 누렸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최 총장은 사임하면서도 정씨에 대해선 “특혜가 없었다”고 했다. 책임 있는 자세라고 할 수 없다.
박근혜 대통령은 미르·K스포츠재단 의혹이 불거졌을 때 “난무하는 비방과 확인되지 않은 폭로성 발언”이라고 했다. 그 후론 가타부타 말이 없다. 의혹이 의혹을 낳으면서 게이트 수준으로 번진 마당에 청와대가 더 이상 모르쇠로 일관해선 안 된다. 새누리당과 검찰, 심지어 시중의 여론까지 박 대통령만 쳐다보고 있는 형국이다. 이제 청와대가 철저한 진상 규명 의지를 밝히고, 검찰은 제대로 실상을 파헤쳐야 한다. 최씨가 대기업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어떻게 미르·K스포츠재단을 이용해 사익을 취했는지가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