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김제 벽골제·수원 축만제, 내달 세계관개시설유산 최초 등재

김제벽골제
한국 최고(最古)·최대((最大) 수리시설인 전북 김제벽골제(국가사적 제111호)와 경기도 수원축만제(경기도 기념물 제200호)가 세계관개시설유산(HIS)에 국내 최초로 등재된다.

24일 김제시에 따르면 김제벽골제가 다음 달 8일 태국 치앙마이에서 열리는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 집행위원회에서 수원축만제와 함께 세계관개시설유산에 등재될 계획임을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국내 저수지가 HIS에 등재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이 13건, 중국 7건, 태국 3건, 스리랑카 2건, 파키스탄 1건 등 모두 26건이 등재돼 있다.

세계관개시설유산은 ICID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제도를 차용해 역사·사회·기술적 가치가 있는 관개시설을 유지보존하고 홍보하기 위해 2014년부터 운영하는 제도다.

김제벽골제는 1700여년 전인 AD330년 백제 비류왕 27년에 제방 총길이 3.25㎞, 저수지 면적 37㎢ 규모로 축조돼 1700여년의 역사적 가치를 지닌 저수지로 이르고 있다. 다양한 토층으로 성토된 제방 단면구조에다 나뭇가지와 잎사귀를 깔고 흙을 쌓는 부엽공법(敷葉工法) 등 기술이 뛰어나고, 일대 4개 군현의 관개수를 공급하는 등 선도적인 시설로서 가치를 높이 평가받았다.
수원 축만제

수원축만제는 1799년(정조23년) 수원화성 축성당시 함께 축조된 저수지로서 수면 면적은 0.4㎢, 저수량은 14만8000t 정도다. 정조시대 가뭄에 대비한 구휼대책이자 수원화성을 지키는 군사들의 식량을 제공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1831년에는 정자인 항미정을 건립해 조선후기 선비들의 풍류와 전통을 즐기는 장소가 된 역사문화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건식 김제시장은 “고대 동아시아 수리시설의 역사와 축조기술을 잘 보여주는 벽골제의 가치를 전 세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벽골제 관련 고고학적 발굴조사와 사료발간 등 사업과 함께 세계문화유산등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벽골제 전경

ICID는 관개·배수·홍수조절·환경보전에 대한 연구개발과 국제교류를 위해 1950년 설립된 비영리 비정부 과학기술 분야 국제기구로 우리나라는 1969년 가입했다. 또한 세계 75개 회원국과 UNDP(유엔개발계획), IBRD(국제부흥개발은행) 등 20여 개 국제기구를 회원으로 두고 있으며 UN경제사회이사회와 FAO(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UNESCO(UN교육과학문화전문기구) 등의 자문기관으로 활동 중이다. 본부는 인도 뉴델리에 있다.

김제=김동욱 기자 kdw7636@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