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이슈탐색] 시위 지도부 없고 자발적 동참… 이념·세대 넘어 분노 표출

예전과 달라진 ‘ 2016 촛불’
'
국정 농단 파문을 부른 ‘최순실 게이트’와 이를 자초한 박근혜 대통령을 향한 분노의 민심은 지난 5일 서울 광화문광장의 20만(주최 측 추산) 촛불 인파로 더욱 분출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촛불집회가 이전 집회들보다 분노의 대상이 명확해 파급 효과가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촛불 정국의 향방을 쉽게 가늠하기 힘들다고 입을 모은다.

5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모이자! 분노하자! #내려와라 박근혜 2차 범국민행동’ 참가자들이 촛불을 들고 행진을 하고 있다. 이날 열린 촛불집회에는 故 백남기 농민 영결식 포함 20만여명의 시민단체 회원들과 박근혜 대통령의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 분노한 시민들이 참여 했다.
남정탁 기자
촛불문화제로도 불리는 촛불집회가 한국 사회에 등장한 건 199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PC통신인 하이텔의 유료화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촛불을 켜고 집회를 처음 개최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로부터 10년이 흐른 2002년 신효순·심미선(당시 14세)양이 주한미군의 장갑차량에 깔려 숨지면서 촛불집회가 불붙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한·일 월드컵과 16대 대선의 열기에 묻혔던 이 사건을 계기로 한국 사회에 촛불집회라는 평화적인 집회·시위 문화가 안착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 5일 서울 광화문광장에 시민 20만명(경찰 추산 4만7000명)이 참여해 최순실 게이트의 철저한 진상규명과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 등을 요구한 시위는 평화적으로 진행돼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줬다. 당시 집회 참가자들이 경찰 저지선을 지키며 시위하는 모습(오른쪽)과 2008년 6월 일부 과격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로 폭력시위로 변질된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 시위 장면이 대조적이다.
연합뉴스
이후 국민들은 사회 현안이 있을 때마다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가 민심을 표출했다. 2004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에 반대하는 최대 22만여명의 촛불 인파가 운집하는가 하면 2008년 광우병 파동 때에는 최대 70만여명이 촛불을 밝히며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했다.

전문가들은 박 대통령의 하야를 한목소리로 주장하는 2016년의 촛불집회는 파급 효과가 그 어느 때보다 빠르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지난달 29일 처음 열린 촛불집회에는 주최 측 추산 기준으로 3만명이 몰렸으나 5일 2차 집회에는 20만명으로 7배 가까이 불어났다. 경찰 추산 인원도 이 기간 동안 1만2000명에서 4만7000명으로 4배 정도 급증했다. 명지대 신율 교수(정치외교학)는 “5일 집회에 나갔는데 참가자가 20만명은 족히 넘어 보였고 대부분 평범한 사람들이었다”며 “2008년에는 시간이 좀 걸린 뒤 집회 규모가 커졌는데 이번에는 일주일 만에 2008년 수준에 버금가는 규모가 됐다”고 놀라워했다. 이어 “이번 집회는 단순한 의혹이 아니라 박 대통령이 일정 부분 인정한 점에 대한 분노”라고 덧붙였다. 분노의 대상과 그 실체가 비교적 명확해 응집력이 높다는 설명이다.

서강대 전상진 교수(사회학)도 “이번 집회의 경우에는 정권의 근간을 뒤흔드는 아주 명확한 국정 농단의 증거가 있고 그 정도가 너무 심한 게 이전과 다른 부분”이라면서 “2008년과 달리 소위 보수 언론들이 프레임을 바꾸려 하지 않고 현 정권과의 대결을 추동하고 있는 것도 다른 점”이라고 꼬집었다. 보수 대 진보와 같은 정치적 성향을 따질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지도부 부재,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라는 촛불집회의 경향은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참여연대 박근용 공동사무처장은 “집회 참가자들의 요구 사항이 박 대통령 하야로 한데 모여 집회가 범국민적이고도 자율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면서 “박 대통령 지지율 등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박 대통령을 뽑았거나 새누리당을 지지했던 사람들도 최순실 게이트에 분노하고 있고 촛불집회에 적지 않게 참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이유로 12일 서울시청광장 일대에서 열릴 예정인 ‘2016 민중총궐기’ 참가자가 역대 촛불집회 최대 규모인 100만명에 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제 공은 박 대통령에게 넘어갔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박진영 기자 jyp@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