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촛불을 들고 청와대로 향하던 시민 행진 대열이 서울 종로구 내자동 로터리에서 경찰 차벽에 막혀 있다. 촛불의 흐름과 청와대 전경을 다중촬영으로 합성한 사진. 사진공동취재단 |
발제를 맡은 김 교수는 “‘국민 위의 정치권’ 혹은 ‘국가와 국민의 안위를 걱정하는 정치권’이란 설정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됐다”며 “‘박 대통령 퇴진 투쟁은 청와대와 새누리당, 재벌, 검찰 등 ‘1% 기득권 동맹’과 ‘99% 일하는 국민’이 대결하는 투쟁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민들이 거리로 나서는 것은 정당 정치가 국민들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고도 분석했다.
토론회 참가자들은 박 대통령이 물러날 경우 출범할 과도 내각은 국민들이 중심인 내각이 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 교수는 “국민들의 의사와 참여가 보장되는 과도 내각의 정치 질서를 상상해야 한다”며 “물론 새누리당은 배제돼야 한다”고 했다. 강 상임대표도 “새누리당을 제외한 모든 정치 세력과 국민들이 참여하는 국민 내각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선이 있는 내년, 30돌을 맞는 87년 체제에서 국민들이 주인인 체제로 이행하는 과정이라는 분석이다.
박진영 기자 jyp@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