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와 김무성 전 대표가 1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이제원기자 |
새누리당은 이날 오전 의원총회에서 만장일치로 박 대통령이 내년 4월30일까지 물러나는 것을 당론으로 정했다. 내년 4월 말로 퇴진 시점을 잡은 것은 향후 정치 일정을 염두에 둔 포석이다.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포함한 당 운영체제를 확정하고,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 등에 소요되는 물리적인 기간을 감안한 것이다.
박 대통령이 4월 말에 물러나면 헌법에 따라 퇴진 이후 60일 이내인 6월 말에 대선을 치러야 한다. 탄핵을 강행하더라도 노무현 전 대통령 사례보다 사안이 복잡한 데다 최대 120일까지 활동하게 될 특검 수사 결과를 반영할 경우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이 4월까지 늦춰질 수 있다는 논리도 작용했다. 새누리당은 이런 부분을 근거로 탄핵 대신 퇴진 일정에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을 설득한다는 방침이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정치 일정의 불확실성을 제거한 만큼 야당도 성의 있는 반응을 내고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 |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오른쪽)가 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원유철 의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이제원 기자 |
이날 의총에서 일부 비박(비박근혜)계 의원은 여야가 협상에 실패하거나 박 대통령이 퇴진 일정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한 계산도 필요하다는 주장을 편 것으로 알려졌다. 당론을 채택하기에 앞서 청와대에 수용 여부에 대한 의사 타진을 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지만, 야당 설득이 우선이라는 의견이 더 많았다고 한다.
![]() |
새누리당 비상시국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1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상시국위원회 대표자-실무자 연석회의에서 의원들이 인사를 하고 있다. 이제원기자 |
![]() |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운데)와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왼쪽), 정의당 심상정 상임대표가 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야 3당 대표 회동에 참석하고 있다. 이재문 기자 |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